KAMA ‘2021년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분석’
지난해보다 전체 판매량 줄고 판매액은 늘어
개인 신차 구매 줄고 법인·사업가 구매 증가

람보르기니 우라칸 에보 RWD 스파이더 [사진=폭스바겐 그룹 코리아]
람보르기니 우라칸 에보 RWD 스파이더 [사진=폭스바겐 그룹 코리아]

지난해 국내 자동차 판매대수는 감소했으나 판매액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입차·대형 SUV·전기차 등 고가 차량의 판매 호조에 기인한 것으로, 국내 자동차 평균 가격이 처음으로 4000만원을 돌파하는 진기록도 세웠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6일 ‘2021년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 시장은 지난해보다 약 9% 감소한 총 173만 5000대를 판매했다.

KAMA는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억눌려왔던 신차 구매수요가 세제 감면과 보복 소비 등으로 이어지면서 2021년 역기저 효과가 발생하고,  글로벌 반도체 공급 위기로 인한 공급망 차질에 따라 출고지연의 영향 등으로 최근 5년 평균 판매량인 182만 2000대의 90% 수준에 머물렀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정작 국내 자동차의 판매액은 지난해 76조 6000억원으로 2020년보다 1.8% 증가했다. 평균 신차 판매 가격은 약 4420만원으로 처음으로 4000만원을 돌파했다. 이는 차량의 수요가 수입차와 대형 SUV, 전기차 등 고가 차량의 판매호조가 유지된 영향으로 해당 차량들의 판매량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6.7%씩 성장했다. 

[사진=자동차산업협회]
[사진=자동차산업협회]

특히 국내 수입차 판매량의 경우 지난해보다 2.3% 증가해 2년 연속 30만대 이상이 판매됐다. 다만 금액기준 시장점유율은 32%를 기록해 처음으로 30%를 넘었다. 이 중 벤틀리·롤스로이스·람보르기니 등 초고가 수입차 브랜드의 판매 대수는 2020년 1234대에서 25% 증가한 1542대를 기록해 신기록을 세웠다.

초고가 수입차의 구매처는 대부분 법인과 사업자로 이들의 평균 구매 가격은 4억원대로 확인됐다. 특히 올해 통계에서는 개인의 신차 구매는 줄고 법인·사업자 구매는 늘어나는 추세가 지속되면서 법인·사업자의 신차 구매 비중은 30%로 높아졌다.

브랜드 별로는 독일과 미국계 브랜드 판매 대수가 전년 대비 각각 2.6%, 6.4% 늘며 역대 최다를 기록했으며, 원산지별로는 BMW iX3 등 중국 공장에서 생산되는 고급 모델이 많아지면서 중국산 차량 판매 대수가 전년 대비 38.1%나 증가했다.

이외에도 최근 꾸준한 관심을 받아온 순수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수소전기차 등 전기동력차는 정부 정책과 규제 변화로 인한 시장 확대와 브랜드별 출시 차종 및 모델의 다양화로 총 판매대수 기준 시장점유율이 2020년 10.8%에서 작년 16.9%로 6%가량 높아졌다. 하이브리드차와 마일드하이브리드차까지 포함하면 시장점유율은 20.1%까지 늘었다.

정만기 KAMA 회장은 “최근 슈퍼카 등 고가 수입차량의 판매 급성장세는 법인과 사업자에 대한 세제 지원 제도에 기인한 측면도 있다”면서 “업무용 차량을 자가용으로 편법 이용하는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업무용 승용차의 비용처리 시 차량 가격 상한선을 두는 등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소비자경제신문 권찬욱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