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 GDC 2022에서 ‘P&E’ 강조
장현국 대표 “재미가 보장되면 돈은 부수요인…지속 발전 가능”
블록체인 지원 플랫폼과 업무협약…위믹스 플랫폼 알리기 나서
국내 P&E(Play and Earn) 게임 시스템의 선두주자인 위메이드가 글로벌 게임 개발자 앞에서 블록체인 경제 시스템과 게임과의 결합이 왜 중요한지를 설명하고 기존 P2E(Play to Earn)과의 차이점, 위믹스 적용 사례 등을 발표했다.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22일 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센터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인 GDC(Gae Developers Conference) 2022에 참가해 ‘플레이 앤 언, 블록체인 경제를 통한 게임의 변화(Play and Earn: Transforming Games with the Blockchain Economy)’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장 대표는 이 자리에서 블록체인 경제 시스템을 적용한 게임 P2E가 아닌 P&E로 정의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기존 P2E는 경제적 보상이 줄어들면 지속적으로 게임하기 어렵지만, P&E는 게임이 재미있기 때문에 돈이 부수적인 요인이 되어 지속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날 발표에서 위메이드는 블록체인 기반 게임의 두가지 접근방식을 공개했다. 한가지는 가상자산에서 시작해 이를 사용하는 게임을 제작하는 방식이다. 다른 한가지는 게임에서 시작해, 게임에 ‘가상자산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전자와 후자 각각 동남아시아의 국민 P2E게임인 엑시 인피니티와 위메이드가 개발한 미르4가 사례로 소개됐다.
장 대표는 두 방식에 큰 차이점이 있다면서 “가상자산에서 시작된 블록체인 게임은 경제적 보상이 줄어들면 이용자들이 이탈하는 반면, 게임에서 시작한 블록체인 게임은 경제적 보상이 크지 않더라도 이용자들이 남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재미가 보장된 웰메이드 게임이나 AAA급 타이틀에 가상자산을 적용한 방식이기 때문에 P&E 게임이 재미있고 이용자도 계속 남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위메이드는 발표에서 경제 시스템의 요소를 가상자산(코인)·대체불가능한 토큰(NFT)·탈중앙화금융(디파이) 세가지로 분류했다. 현재 미르4 게임 내에는 블록체인 플랫폼이자 기축통화 코인인 위믹스(WEMIX)와 게임 내 토큰 드레이코(DRACO)가 존재하고, 유저가 만든 캐릭터는 NFT화됐으며, 코인과 NFT 모두를 예치할 수 있는 디파이 서비스도 존재한다. 장 대표는 이를 소개하며 유저들을 끌어들이는데 이같은 요소가 주요했다고 전했다.
장 대표는 한발 더 나아가 블록체인 경제 시스템을 적용한 게임이 곧 ‘메타버스’라고 주장했다. META(구 페이스북)은 디바이스 활용한 가상세계를, 제페토는 아바타 커뮤니티를 메타버스라고 정의하고 있지만 장 대표는 가상과 현실을 연결하는 경험이 창출되면 그게 메타버스라는 것이다.
장 대표는 “시기와 정도는 다르겠지만 향후 3년 내에 모든 게임들이 블록체인 경제 시스템을 적용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한편 위메이드는 GDC2022 행사 참여에 맞춰 블록체인 생태계 강화에 나섰다.
위메이드는 같은 날 블록체인 게임 유저 지원 플랫폼인 게임체인저(Game Changer)와 전략적 제휴(MOU)를 체결하고 탈중앙화 자율조직(DAO) 형태로 블록체인 생태계를 지원하기로했다. 구체적으로는 P2E를 이용하는 유저들이 각 게임의 토큰 보유량과 플레이 시간, NFT 매매내역 등을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게임체인저는 유비소프트, 세탄 아레나, 아에리아 게임즈 등 다양한 게임사들과의 협업을 통해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게임체인저는 이번 MOU를 통해 위믹스 플랫폼을 동남아시아와 남아메리카 내 P2E 유저 및 커뮤니티에 알릴 예정이며 위믹스 게임 지원, 토큰 사용, 게임 지표 트래킹 툴 개발, 토너먼트 개최 등 위믹스 플랫폼 지원 역시 제공될 예정이다.
또 위메이드는 글로벌 통합 마케팅 플랫폼 서비스 기업인 유애피(Youappi)와도 MOU를 체결했다.
유애피는 모바일 게임을 포함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리타겟팅(Retargeting) 캠페인과 리인게이지먼트(Re-engagement) 마케팅에 강점을 가진 기업으로, 고도화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 등을 접목한 데이터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화된 모바일 퍼포먼스 캠페인을 제공하고 있다.
위메이드는 유애피와의 제휴를 통해 모바일 게임 마케팅 솔루션·노하우를 적극 활용하고, 위믹스의 브랜드 위상 제고와 온보딩된 게임들을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 캠페인을 펼친다는 방침이다.
유애피 낸시 로버츠 CMO(최고 마케팅 책임자)는 “세계 최고 수준의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와 협력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향후 위믹스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 중인 모바일 게임업체들이 글로벌에서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다양한 방면의 캠페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고 전했다.
소비자경제신문 권찬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