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키지형 회생기업 금융지원 프로그램’ 정부 협업과제 우수상 수상
83개 회생기업에 신규자금 735억원 대여…약 3000여 명 고용유지

패키지형 회생기업 금융지원 프로그램 구조도 [사진=캠코]
패키지형 회생기업 금융지원 프로그램 구조도 [사진=캠코]

기술력과 성장가능성을 갖췄더라도 민간 시장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회생절차 기업을 위해 민·관·공의 유관기관들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주도적으로 나선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는 소통의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회생기업의 재도약을 충실히 지원할 것을 밝혔다.

캠코는 기획재정부가 全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진행한 ‘21년도 혁신·협업·시민참여 과제 평가’에서 ‘패키지형 회생기업 금융지원 프로그램’이 협업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고 22일 밝혔다. 패키지형 회생기업은 법원 회생절차 개시 또는 종결(졸업) 후 3년 이내 기업을 뜻한다.

이 프로그램은 우수한 기술과 영업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낮은 신용도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회생기업의 재무적 정상화를 돕는 국내 최초․유일 회생기업 종합 지원 프로그램이다.

캠코는 경쟁력 있는 회생기업을 발굴하여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함께 운전·시설·대환 자금을 대여(DIP 금융)하고, SGI서울보증의 보증보험을 추가로 제공하여 회생기업의 경제적 재기를 돕고 있다. DIP 금융은 회생기업 지원금융(DIP, Debtor In Possession)이란 뜻으로 기술력과 영업력을 갖춰 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회생기업에 운영자금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캠코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서울회생법원·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기업은행 등 회생절차·기술평가·금융부문 전문기관들과 협약을 체결했다. 캠코는 패키지형 회생기업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현재까지 83개 회생기업에 735억원의 신규자금을 대여하고, 총 62억원 규모의 보증보험을 제공해 중소기업의 경영정상화와 함께 약 3000여 명의 고용유지를 도왔다.

한편 캠코는 올해 회생기업에 대한 DIP 금융 지원 규모를 500억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DIP 금융지원을 비롯한 캠코의 기업지원 프로그램은 온라인 기업정보 플랫폼 ‘온기업’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세라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