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21일 탄원서 법원에 제출…관계인 집회서 회생계획안 부결가능성 커져
“3000억원으론 회생채권· 공익채권도 상환 불가능…법정관리 기회 연장해야”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총 340여 개 쌍용자동차 협력업체로 구성된 16만명의 쌍용자동차 상거래 채권단이 “에디슨모터스의 쌍용차 회생계획안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제동을 걸었다. 이들은 “에디슨모터스의 사업능력과 자금확보를 도저히 신뢰할 수 없다”면서 법원에 신규 인수자 확보를 위한 추가정차 진행을 요청했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22일 이같은 내용을 전하면서 “쌍용자동차 상거래채권단이 21일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의 쌍용차 인수를 반대하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탄원서를 법원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게다가 채권단 참여 협력 업체 중 258개 협력사가 에디슨모터스 인수 반대 동의서를 함께 제출한 사실도 알려졌다. 

채권단은 “에디슨모터스의 회생계획안은 1.75% 회생채권 변제율과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은 91% 이상의 지분을 보장한다는 내용이다”면서 “에디슨모터스는 쌍용차를 단돈 3000억원에 인수하겠다고 나섰지만 그 돈으로는 회생채권은 말할 것도 없고 공익채권도 못 갚는 실정이다”고 크게 우려했다. 

또 채권단은 “그러면서 에디슨모터스는 어떤 기술력을 보여주지도 못하면서 단지 쌍용차 자산을 담보로 차입 경영한다는 불순한 의도만 보여주고 있다. 채권단은 강력히 이번 M&A를 반대한다”면서 “채권자들의 반대에도 법원이 회생계획안을 강제 인가할 경우 일부 협력사의 공급 거부 등에 따른 쌍용차 생산 중단으로 전체 협력사의 파국을 초래할 수 있고 쌍용차는 파산 수순으로 갈 것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채권단은 “약 8000억원에 달하는 쌍용자동차 회생채권과 공익채권을 당장 못 받더라도 제대로 된 주인을 다시 구해서 쌍용차가 다시 살아날 수 있기를 소망한다”면서 “30만명에 달하는 쌍용차 생계인원을 위해 법원에서 법정관리 기회를 연장해달라”고 호소했다. 이를 위해 상거래채권단은 6월말 출시를 앞둔 쌍용 J100과 회사 가치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혔다. 

현재 에디슨모터스의 쌍용차 회생계획안을 반대하는 건 채권단만이 아니다. 또다른 회생권자인 서울보증보험도 법원에 회생계획안 수정을 요청한 상태로, 다음달 1일 열리는 관계인 집회에서 회생계획안이 부결될 가능성이 커졌다. 에디슨모터스가 회생계획안에 대한 법원의 최종 인가를 받으려면 관계인 집회에서 회생담보권자의 4분의 3, 회생채권자의 3분의 2, 주주의 2분의 1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그러나 쌍용차의 회생채권은 5470억원으로 이중 상거래 채권만 3802억원을 차지해 상거래채권단이 반대표를 던진다면 회생계획안은 부결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였다. 인수금액을 고려하면 변제율을 채권단이 요구한 수준인 최소 50% 이상으로 올리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쌍용차는 관계인 집회 전까지 채권단과 변제율에 대해 협의를 한다는 입장을 채권단에 전한 상황이다. 

한편 에디슨모터스 측은 “아직 윗선에서 내려온 공식적인 입장은 없다”고 밝혔다. 에디슨모터스는 이전 쌍용차와의 협상 과정에서 흘러나온 문제들에 대해서도 “윗선에서 전달받은 내용이 없다”면서 제대로 된 답변을 내는데 한참동안 시일이 걸렸기 때문에, 이번에도 공식적인 입장을 내는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경제신문 권찬욱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