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서 전세 갈아타기 비용도 꾸준히 증가
실수요자 경기·인천으로 눈돌려
매매가 오르더니 이젠 전세도 올랐다. 서울 전세가 무려 7억원에 육박하고 있다. 매매가는 전셋가 보다 더 빠른 속도로 오르면서 전세를 유지하기도, 매매로 갈아타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서울 아파트 전세 가격 부담을 느낀 수요 상당수가 경기도와 인천 등 새 아파트 분양 시장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이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10일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최근 서울 전세 시장의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다지만, 지난 한해 동안 이미 크게 오른 상황에서 전세입자 입장에선 체감상 여전히 높은 가격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2월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의 가구당 평균가격은 6억 809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월 처음으로 6억원을 넘어선 이후 올해 1월에는 6억 8131만원으로 상승한 이후 보합을 유지하고 있다.
매매가는 더 큰 폭으로 올라 갈아타기 비용 부담도 커졌다. 서울 아파트의 갈아타기 비용은 최근 5년간 2월을 기준으로 △2018년 2억 9800만원 △2019년 4억 3220만원 △2020년 5억 2768만원 △2021년 6억 944만원 △2022년 6억 9231만원 등으로 큰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갈아타기 비용’이란 매매가에서 전세가의 차이를 뺀 가격이다. 즉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간극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의미다.
올해 초 금리인상과 대출규제, 집값 고점 인식 확산 등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값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과 매매로의 갈아타기 비용 모두가 7억원에 임박해 있어 서울 전세 수요의 자금 조달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른 전세난민 탈서울 현상도 가속화 될 전망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56만 7366명이 서울을 벗어나 다른 지역으로 떠났다. 이 중 63.82%(36만 2116명)가 경기로 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 직장을 두고 있지만, 최근 대출도 어려워지면서 전셋값 감당이 힘들어진 수요자들이 출퇴근이 용이한 경기지역으로 이동했다.
이를 반영하듯 서울 전세수요 상당수를 경기도와 인천 내 신규 분양 아파트 청약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 기준, 지난달 경기·인천 지역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1254만원이었다. 전용면적 84㎡(34평 기준) 기준으로 분양가를 환산하면 4억 2636만원이다.
현대건설은 경기 용인 처인구 모현읍 왕산리 일원에 ‘힐스테이트 몬테로이’를 분양 중이다. 단지는 발코니 확장비를 포함해도 전용면적 84㎡ 기준 5억원대 초반에 분양받을 수 있어 주변 시세 대비 저렴하게 책정됐다.
두산건설은 경기 광주 탄벌동에서 ‘두산위브 광주센트럴파크’를 분양 중이다. 단지의 분양가격은 전용 59㎡는 3억 4200만~3억 8900만원선이며, 전용 84㎡는 4억 7200만원~5억 4300만원선에 책정됐다.
소비자경제신문 오아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