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옥션 2월 경매동향보고서
경기·인천 아파트 낙찰률·낙찰가율은 상승

서울 용산 마포구 일대 아파트촌 [사진=연합뉴스] 
서울 용산 마포구 일대 아파트촌 [사진=연합뉴스] 

지난해까지만 해도 고공행진 중이었던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에서도 찬바람이 불고 있다.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이 1년 만에 100% 밑으로 하락했다. 낙찰가율은 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을 의미한다. 즉 낙찰된 물건의 입찰 가격이 감정가보다 낮아졌다는 의미다.

법원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8일 발표한 2022년 2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은 97.3%로 전월(103.1%) 대비 5.8%포인트 떨어졌다. 100% 아래로 내려간 것은 2021년 2월(99.9%) 이후 처음이다. ▲119.9% ▲107.9% ▲103.3% ▲103.1% ▲97.3% 등 지난해 10월 이후 연속 하락세다.

낙찰률은 50.0%로 전달(48.6%) 보다 1.4%포인트 상승했지만 전년 동월(80.0%)에 비하면 차이가 크다. 평균 응찰자 수는 전달 보다 1.0명이 줄어든 5.4명으로 집계됐다. 강력한 대출규제와 금리인상 등으로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 열기가 가라앉는 분위기다.

반면 경기도 아파트 낙찰률과 낙찰가율은 동반 상승했다. 낙찰률은 56.3%로 전월(54.5%) 보다 1.8%포인트 올랐고 낙찰가율은 103.8%로 전월(103.3%) 보다 0.5%포인트 소폭 상승했다. 평균 응찰자 수는 8.8명으로 전달(9.5명)에 비해 0.7명이 감소했다.

아울러 인천 아파트 경매지표도 모두 올랐다. 낙찰률은 78.3%로 전월(56.4%) 대비 21.9%포인트 증가했으며 낙찰가율은 전월(109.2%) 보다 4.0%포인트 오른 113.2%를 기록했다. 평균 응찰자 수 역시 전월 보다 4.2명이 증가한 9.8명으로 집계됐다.

경기와 인천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6억원 이하의 중·저가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경매시장으로 진입한 영향이다. 경매로 낙찰된 경우에도 6억원 이하는 정책금융상품인 보금자리론 대출이 가능하다.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는 1206건으로 이 중 629건이 낙찰됐다. 지난해 12월부터 40%대를 기록하던 낙찰률은 전월(45.2%) 대비 7.0%포인트 오르면서 2월에는 52.2%를 기록했다. 낙찰가율은 97.4%로 전월(97.1%) 보다 소폭 상승하긴 했지만 올해 들어 100%를 밑돌면서 진정국면을 보이고 있다. 평균 응찰자 수는 6.4명으로 전월(6.1명)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소비자경제신문 오아름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