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증가·코로나 장기화로 혼술·홈술 증가
MZ세대 겨냥한 주류업계 특화 매장 인기

주류 소비의 주축으로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혼술·홈술 등의 문화가 정착되고 있다. 특히 1인 가구 증가와 코로나19 장기화 상황과 맞물려 MZ세대 중심의 주류 소비 변화는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주류업계에서는 소비주축으로 떠오르고 있는 MZ세대를 잡기 위한 마케팅 각축전이 벌어질 전망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전체 가구의 10가구 중 3가구가 1인 가구인 31.7%인 664만 3000명으로 나타났다. 특히 MZ세대에 해당하는 20~30대 1인 가구 수는 5년 새 약 29%가 증가해 지난 2015년 184만명에서 2020년 238만 2429명으로 늘어났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공사가 발표한 ‘2020 주류시장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65.7%가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술 마시는 장소가 변했다고 답했다. ‘집’이 87.3%를 차지했으며 ‘혼자서’마신다는 응답이 45.2%였다.

위스키에 탄산음료를 섞어 마시는 ‘하이볼’이나 집에서 직접 술을 제조해 마시는 ‘홈텐딩(홈+바텐딩)’이 인기를 끌면서 주목받고 있는 동아오츠카의 ‘데미소다’ [사진=동아오츠카]
위스키에 탄산음료를 섞어 마시는 ‘하이볼’이나 집에서 직접 술을 제조해 마시는 ‘홈텐딩(홈+바텐딩)’이 인기를 끌면서 주목받고 있는 동아오츠카의 ‘데미소다’ [사진=동아오츠카]

2030세대 중심 과일 탄산음료 인기

최근 2030 세대를 중심으로 자신의 취향에 맞게 직접 칵테일을 만들어 즐기는 ‘믹솔로지(Mixology)’ 트렌드가 자리잡으면서 위스키·보드카 등 고도주 시장이 활기를 찾는 추세다. 위스키에 탄산음료를 섞어 마시는 ‘하이볼’이나 집에서 직접 술을 제조해 마시는 ‘홈텐딩(홈+바텐딩)’이 인기를 끌며 탄산음료도 주목 받고 있다.

동아오츠카의 과일 탄산음료 ‘데미소다’는 실제 과일 과즙을 담은 상함과 청량한 탄산감이 특징이다. 데미소다는 애플·청포도·오렌지·레몬·복숭아·자몽 등 6가지 종류로 원하는 취향의 칵테일을 손쉽게 만들 수 있다. 온라인에서도 데미소다를 활용한 애플 하이볼·레몬 하이볼·피치 하이볼 등의 레시피가 공유되고 있다.

하이트진로의 맥주 브랜드 테라 [연합뉴스]
하이트진로의 맥주 브랜드 테라 [연합뉴스]

집에서 소용량으로 즐기는 혼술

부담 없이 가볍게 마실 수 있는 소용량 제품도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 7일 하이트진로는 청정라거 테라의 400ml와 463ml을 신규 출시했다. 이로써 테라는 250ml·355ml·400ml·463ml· 500ml의 총 5종의 라인업을 갖추게 됐다.

주로 위스키를 칵테일 형식으로 즐기는 MZ세대를 위해 소용량 위스키도 출시됐다. 디아지오코리아는 저도주 제품 ‘W 아이스’를 450ml·330ml 버전으로, 페르노리카코리아는 ‘앱솔루트’·‘제임스 스탠더드’·‘발렌타인 12년’을 각각 375ml·200ml·350ml 버전으로 선보였다.

제타플렉스 잠실점 1층에 자리한 와인 전문점 ‘보틀벙커’ [사진=롯데마트]
제타플렉스 잠실점 1층에 자리한 와인 전문점 ‘보틀벙커’ [사진=롯데마트]

힙(Hip)한 주류 체험 특화 매장 붐

지난해 12월 문을 연 제타플렉스 잠실점 1층 주류 전문샵 ‘보틀벙커’는 다양한 주류 제품을 즐기며 자신만의 개성과 취향을 드러내는 MZ세대의 니즈를 저격하고 있다. 보틀벙커는 개점 이후 3일 만에 6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12월 개점 후 한 달간 매출 신장률은 405%에 달한다.

국내 최대 규모로 조성된 보틀벙커에서는 총 4000여 종의 와인을 구매할 수 있고, 80여 종의 와인을 시음할 수 있다. 와인뿐만 아니라 ‘위스키’존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양주를 구매할 수 있다. 인스타그램과 와인·위스키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보틀벙커에 대한 입소문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세라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