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만에 사업 본궤도…6815세대 대단지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서 수정 가결

잠실주공5단지 [사진=연합뉴스]
잠실주공5단지 [사진=연합뉴스]

잠실에서 최고 50층 아파트가 지어진다. 총 6815세대의 대규모 재건축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서울의 대표적 재건축 단지인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정비계획안이 7년 만에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 

서울시는 도시계획위원회 수권소위원회에서 잠실5단지 재건축정비계획 변경 및 경관심의안을 수정 가결했다. 이번 심의 통과는 주민들이 정비계획안을 마련한 지 7년 만이다. 아울러 오세훈 시장 취임 이후 주요 재건축 단지 중 사업 정상화가 처음으로 가시화되는 사례다. 

이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17일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부족한 주택공급을 서둘러서 다행이다”면서 “공급량이 늘어나면서 집값이 안정화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100가구 추가 공급으로 변경

이번 정비계획안 통과로 잠실5단지는 현재 3930세대에서 6815세대(공공주택 611세대 포함) 대규모 단지로 탈바꿈한다. 잠실역 역세권에 걸쳐있는 용지는 업무·상업·문화 기능 강화를 위해 용도지역을 상향(제3종일반주거→준주거)해 최고 50층 건립이 가능해졌다. 잠실역 주변이 서울의 미래 청사진인 2030 서울플랜 상 잠실 광역권의 중심인 만큼 그 위상을 고려한 조치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당초 조합이 잠실역 부근 복합용지 내에 계획했던 호텔은 코로나19 등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에 따라 무산됐고, 대신 아파트 약 100세대를 추가 공급하는 것으로 계획이 변경됐다.

잠실5단지(송파구 잠실동 27번지 일대 총 35만 8077㎡)는 1978년도에 건립돼 올해로 준공 45년을 맞은 송파구 최대 재건축 단지다. 2014년 재건축 사업 준비에 착수했으나 2017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이후 학교용지 확보와 관련한 시와 조합 측의 이견으로 교육환경평가 심의가 3년 이상 지연지면서 사실상 사업이 중단된 상태였다.

그러나 오세훈 시장 취임 이후 재건축 정상화 추진에 따라 사업 재개 절차에 돌입했고, 작년 8월에는 교육환경평가 심의를 통과했다. 이번 도시계획위원회 수권소위원회에서는 두 번의 심의를 거쳐 공원 내 공원시설의 공공주택 전환, 교육환경평가 결과에 따른 학교용지 면적 증가 등을 수정 가결했다.

잠실5단지 정비계획은 이번에 수정 가결된 내용을 반영해 재공람 공고 후 최종 결정·고시된다. 이후 교통영향평가와 서울시 건축위원회 심의를 거쳐 건축계획이 확정된다. 시는 창의적인 건축디자인 실현을 위해 일대 특별건축구역 지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잠실5단지는 사업시행인가 뒤에 이뤄지는 시공사 선정 절차를 이미 마쳐 놓은 상태다. 조합이 설립 전인 2000년도에 시공사를 삼성물산·GS건설·현대산업개발이 뭉친 컨소시엄으로 선정했다. 현재 시행 중인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정법)은 2003년 법 시행 전에 시공사를 선정한 사업지의 경우 시공사 지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해 놓고 있어 시공사 지위는 현재도 유효하다.

잠실5단지와 함께 주요 재건축 단지로 꼽히는 여의도와 압구정 등도 사업 정상화 단계를 밟고 있다. 여의도와 압구정 아파트 지구에서는 일부 단지가 신속통합기획을 신청한 상태다. 시는 지구단위계획과 정비계획 결정 절차를 병행해 단지별로 신통기획 완료 시점에 지구단위계획을 결정할 예정이다.

대치동 은마아파트의 경우 이미 정비계획이 입안된 상태로, 정비계획 입안권자인 강남구와 협의해서 정비계획 결정 절차를 추진할 예정이다.

재건축 사업 청신호 환영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은 잠실 5단지 재건축 계획 심의 안건이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수권소위원회를 통과하자 “재건축 결의 22년 만에 사업 청신호가 켜졌다”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잠실 5단지 재건축은 보수당의 주요 단골 총선 공약이었지만 수십 년간 난항을 거듭했었다. 배 의원도 지난 21대 총선 당시 ‘잠실 5단지 재건축’을 제1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다. 특히 지난해 4월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당시 배 의원의 의견이 받아들여져 ‘잠실 5단지 재건축’이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의 부동산공약으로 관철됐다.

이와 관련해 배 의원은 “잠실 5단지에 재건축 안전진단 D등급이 내려진지도 벌써 12년이 흘렀지만, 박원순 서울시의 봉쇄로 주민들은 녹물과 싱크홀 등 안전의 위협을 받으며 살아왔다”면서“이번 오세훈 서울시의 결정으로 잠실 5단지주민들과의 약속을 지킬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덧붙여 “아직 도시계획위원회 전체회의를 비롯한 단계별 절차들이 남아 있지만, 잠실 5단지 주민들의 염원이 이뤄지는 그 날까지 지역구 국회의원으로서 중점현안으로 챙겨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소비자경제신문 오아름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