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수도권 아파트 10건 중 3건 ‘하락거래’

서울 송파구 부동산 중개업소 [사진=연합뉴스]
서울 송파구 부동산 중개업소 [사진=연합뉴스]

실거래가 하락이 이어지고 매물이 쌓이고 있다.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거래 10건 중 3건은 직전 거래보다 낮은 가격에 체결되면서 집값 하락세가 현실화 될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10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수도권 지역 아파트 실거래가 동향’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거래 중 직전 거래 대비 가격이 하락한 비중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서울 지역 아파트 하락 거래 비중은 31.8%로 분석됐다. 이는 9월 대비 8.2%포인트 확대된 수치다. 경기와 인천 지역의 아파트 실거래가 하락 거래 비중은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경기 지역 10월 아파트 거래 중 직전 거래대비 실거래가가 하락한 비중은 28.2%였다. 전월(21.5%)대비 6.7%포인트 확대된 수치이자 올해 최고치이다. 경기 지역의 하락거래 비중은 4월 25.5%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축소되다 9월 반등한데 이어 2개월 연속 확대됐다.

인천 지역 아파트 실거래가 하락 거래 비중은 전월(20.7%)대비 8.4%포인트 확대된 29.1%로 나타났다. 인천 지역 역시 하락거래 비중이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아직 거래신고 기한이 남아있어 하락 거래 비중이 변동될 수는 있지만 아파트값 상승 추세는 꺾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자료=김회재 의원실]
[자료=김회재 의원실]

억 단위부터 수 천만원까지 큰 폭으로 하락하는 단지도 다수 나타났다. 서울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 33A평형은 10월 2일 22억 5500만원에 거래돼 직전 거래 대비 1억 1500만원이 하락했다. 강북구 미아동 에스케이북한산시티 43평형은 10월 4일 직전 거래 대비  7900만원 하락한 8억 9900만원에 거래됐다.

경기 부천시 중동 팰리스카운티 24평형은 10월 9일 6억 7500만원에 거래돼 직전 거래 대비 5200만원 하락했고, 성남분당구 야탑동 장미마을 현대아파트 31A평형은 10월 2일 12억원에 거래돼 직전 거래 대비 5000만원이 떨어졌다. 인천 역시 서구 가좌동 한신휴플러스 52평형이 직전 거래 대비 3000만원 떨어진 6억 1000만원에 거래되는 등 실거래가 하락이 가시화 되는 추세다.

실거래가 하락 사례가 이어지자 매물도 점차 쌓이는 모습이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11월 9일 기준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 매물은 4만 3879건으로 전월대비 6.7% 증가했다. 경기 지역은 전월대비 12.1% 증가한 7만 5390건을 기록했고, 인천은 17.1% 증가한 1만 5595건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시장도 매수자 우위로 재편되고 있다.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이 발표한 지난주 수도권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8.9로 전주대비 4.9포인트 하락했다. 2020년 10월 1주(76.3) 이후 54주만 최저치이자 3주 연속 기준선 100 이하를 기록한 것이다.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인 100보다 낮으면 매수자 우위, 높으면 매도자 우위 상태를 뜻한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역시 전주대비 5.4포인트 하락한 74.0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5월 4주(72.7) 이후 72주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김회재 의원은 “주택시장이 변곡점에 접어들고 금리인상과 이달 하순부터 시작될 종부세 부과로 다주택자들의 고민이 깊어질 것”이라면서도 “야당 후보의 규제 완화 공약은 안정되어 가는 부동산 시장에 기름을 끼얹을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김 의원은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 시그널이 서울 부동산 시장의 불안을 초래했다”며 “규제 완화 시그널보다 투기 방지 대책 마련과 부동산 시장 안정이 선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소비자경제신문 오아름 기자

[자료=김회재 의원실]
[자료=김회재 의원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