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연령대 강남3구 19.6%로 8.6%인 비수도권의 2.3배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증여·상속을 포함한 자금으로 집을 사는 강남3구의 2030세대 비율이 비수도권 지역에 비해 2배나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의원이 2017년 하반기부터 2021년 상반기까지의 자금조달계획서(주택취득자금 조달 및 입주계획서) 123만 7243건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1년 상반기에 강남3구에서 집을 산 2030세대 중에 증여·상속을 끼고 산 비율은 36.7%로, 비수도권 지역 18.5%의 두배에 달했다.

2021년 상반기에 강남3구에서 2030세대가 주택을 구입한 건수는 3423건이었는데 이 중 36.7%인 1256건이 증여·상속을 포함한 자금으로 주택을 구입했다. 비수도권에 집을 산 2030은 4만 7275건이었는데 증여·상속을 낀 경우는 18.5%인 8730건이었다.

강남3구의 해당 비율은 해마다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중이다.  ▲2018년 상반기 0.9% ▲2019년 상반기 19.6% ▲2020년 상반기 32.3% ▲2021년 상반기 36.7%로 증가했다. 전체 연령대로 범위를 확대해 보면 2021년 상반기 강남3구 주택구입자 중 증여·상속을 낀 비율은 19.6%였다. 8.6%에 그친 비수도권의 2.3배 수준이다.

이와 관련해 강준현 의원은 “부의 대물림을 통해 주택을 구입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강남3구와 2030세대에서 이러한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면서 “2030세대를 중심으로 본인의 노력으로 집을 살 수 있다는 희망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소비자경제신문 오아름 기자

[자료=강준현 의원실]
[자료=강준현 의원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