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와 카카오의 주가가 정부·여당의 강력한 카카오 비판 등 온라인 플랫폼 규제 움직임 등의 영향으로 급락했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네이버는 전일대비 3만5000원(-7.87%) 급락한 40만9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카카오는 네이버보다 하락폭을 더 키워 전날보다 1만5500원(-10.06%) 떨어진 13만8500원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카카오와 네이버 시가총액은 61조 5919억원, 67조 2659억원으로 이날 하루 6조 8930억원, 5조 7492억원 각각 줄었다.

외국인이 오후 2시 30분 기준 카카오를 2703억원, 네이버를 1117억원 각각 순매도하며 하락을 주도했다. 카카오와 네이버는 이날 외국인 순매도 종목 1, 2위다.

최근 카카오 자회사 카카오모빌리티가 다른 택시 앱 이용을 권유한 카카오T 가입 택시기사들에게 제재를 가하는 등 시장 독점 논란이 계속됐다.

이와 관련 국회에는 네이버·카카오 등 온라인 플랫폼의 불공정 거래행위를 금지하는 내용의 법안들이 속속 발의됐다.

카카오모빌리티 갑질 논란과 관련해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은 이날 국회 예결위 종합정책질의에서 “카카오T에 대한 규제 방식을 고민하고 있다”며 “심각하게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민주당 송영길 대표와 윤호중 원내대표[사진=연합뉴스]
민주당 송영길 대표와 윤호중 원내대표[사진=연합뉴스]

또 앞서 지난 7일 민주당 송영길 대표는 “혁신 기업을 자부하는 카카오가 공정과 상생을 무시하고 이윤만을 추구했던 과거 대기업들의 모습을 그대로 따라가서는 안 된다”며 규제 추진을 예고했다.

윤호중 민주당 원내대표도 “입점 업체에 대한 지위 남용과 골목 시장 진출, 서비스 가격 인상 시도까지 카카오의 행보 하나하나가 큰 우려를 낳고 있다”며 “민주당은 이러한 상황을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여기에 더해 금융당국이 카카오페이, 네이버파이낸셜 등 온라인 금융플랫폼의 금융상품 판매에 대해 금융소비자보호법(금소법) 위반 우려가 있다고 판단한 것도 투자심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전날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온라인 금융플랫폼이 금융상품의 직접 판매업자가 아닌데도 소비자가 그렇게 오해할 소지가 있다면 금소법 위반에 해당하므로 시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소비자경제신문 박정민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