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일 고양시 킨텍스서 나흘간 팡파르
전세계 12개국, 154개 기업·기관 참여
모빌리티·충전인프라 기술개발 한눈에
​​​​​​​정만기 회장 “정부 적극적 지원 절실”

8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1수소모빌리티+쇼'에서 현대자동차 부스를 찾은 정의선 현대차그룹회장(왼쪽부터), 최태원 SK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조현상 효성그룹 부회장 등이 트레일러 드론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8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1수소모빌리티+쇼'에서 현대자동차 부스를 찾은 정의선 현대차그룹회장(왼쪽부터), 최태원 SK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조현상 효성그룹 부회장 등이 트레일러 드론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코로나를 뚫고 ‘2021 수소모빌리티+쇼’가 8일 개막했다. 올해로 2회째를 맞는 ‘2021 수소모빌리티+쇼’는 수소가 탄소중립경제의 확실한 대안이라는 사실을 재확인, 국내 수소산업의 현황과 향후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1 수소모빌리티+쇼는 8일 오전 9시30분 온라인 개막식을 시작으로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나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올해 2회째를 맞는 수소모빌리티+쇼에는 ▲수소모빌리티 ▲수소충전인프라 ▲수소에너지 분야 전 세계 12개국, 154개 기업 및 기관이 참가했다. 개막식은 코로나19를 감안해 비대면 온라인 회의 형태로 진행됐다.

정만기 수소모빌리티+쇼 조직위원회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이번 쇼엔 이미 많은 기업과 바이어가 참여해 이미 성공을 예약해 두었다면서 성공 요인을 3가지 제시했다.

정 위원장은 수소가 탄소중립경제의 가장 확실한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탄소중립을 위해선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전기사용 확대가 필요하나 전기를 화석연료로 생산한다면 의미 없을 것”이라며 화두를 던졌다.

이어 정 위원장은 “신재생에너지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의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고 그 전기로 수소를 생산한 후 이를 국내로 가져오는 비즈니스 모델을 확산해 간다면 탄소중립 경제를 조기에 확실히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이러한 사업모델은 이미 도입되고 있고 이번 전시회에서 다양하게 소개된다”고 덧붙였다.

현대차그룹이 7일 온라인으로 열린 '하이드로젠 웨이브'에서  수소비전 2040과 핵심 수소기술,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한 새로운 수소모빌리티, 연료전지시스템 등을 발표했다. 사진은 행사에 기조 발표자로 참석한 정의선 회장 [사진=연합뉴스]
현대차그룹이 7일 온라인으로 열린 '하이드로젠 웨이브'에서 수소비전 2040과 핵심 수소기술,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한 새로운 수소모빌리티, 연료전지시스템 등을 발표했다. 사진은 행사에 기조 발표자로 참석한 정의선 회장 [사진=연합뉴스]

특히 한국은 수소 부가가치 사슬 전반이 빠르게 발전하는 나라라고 설명했다. 정 위원장은 “세계의 수소에 대한 인식이 급변하고 있고 특히 수소차는 충전시간 5분 내외, 1회 충전 시 주행거리 1000km에 공기정화 기능까지 더해져 최근 더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면서 “우리나라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수소 생산에서 저장, 운송, 활용까지 이어지는 수소 부가가치 사슬 전반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구축해 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수소모빌리티+쇼 조직위원회는 이번 수소모빌리티쇼의 기술 위주 전략에 대해 높이 평가했다. 조직위원회는 ”한국은 ▲탄소배출이 없는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수전해 기술 ▲수소의 장거리, 대용량 운송에 필요한 액화・액상 등의 수소 저장운송 기술 ▲수송용 외에 건물 등의 태양광 발전용 연료전지 기술 등은 많은 연구기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해외기업 대비 미흡하다”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R&D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이번 전시회에는 모빌리티, 충전인프라, 생산, 저장, 이동 등 생태계 전반의 기술기업들이 참여할 뿐만 아니라 스웨덴,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수소강국의 기술기업들이 참여해 최고의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라면서 “전시회는 수소 기업간 기술교류와 미래 기술을 위한 협력파트너를 찾는 좋은 플랫폼을 제공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특히 정 회장은 “우리나라 경제구조상 2050년 탄소중립과 2030년 기존 목표대비 35%이상 탄소감축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 제한적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민간은 탄소중립실현의 확실한 수단인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과 기술혁신에 노력해갈 필요가 있다”면서 “정부는 민간의 이러한 노력에 대해 세제와 금융, 기술과 인력 등 다각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소비자경제신문 노정명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