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일 고양시 킨텍스서 나흘간 팡파르
전세계 12개국, 154개 기업·기관 참여
모빌리티·충전인프라 기술개발 한눈에
정만기 회장 “정부 적극적 지원 절실”
코로나를 뚫고 ‘2021 수소모빌리티+쇼’가 8일 개막했다. 올해로 2회째를 맞는 ‘2021 수소모빌리티+쇼’는 수소가 탄소중립경제의 확실한 대안이라는 사실을 재확인, 국내 수소산업의 현황과 향후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1 수소모빌리티+쇼는 8일 오전 9시30분 온라인 개막식을 시작으로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나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올해 2회째를 맞는 수소모빌리티+쇼에는 ▲수소모빌리티 ▲수소충전인프라 ▲수소에너지 분야 전 세계 12개국, 154개 기업 및 기관이 참가했다. 개막식은 코로나19를 감안해 비대면 온라인 회의 형태로 진행됐다.
정만기 수소모빌리티+쇼 조직위원회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이번 쇼엔 이미 많은 기업과 바이어가 참여해 이미 성공을 예약해 두었다면서 성공 요인을 3가지 제시했다.
정 위원장은 수소가 탄소중립경제의 가장 확실한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탄소중립을 위해선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전기사용 확대가 필요하나 전기를 화석연료로 생산한다면 의미 없을 것”이라며 화두를 던졌다.
이어 정 위원장은 “신재생에너지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의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고 그 전기로 수소를 생산한 후 이를 국내로 가져오는 비즈니스 모델을 확산해 간다면 탄소중립 경제를 조기에 확실히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이러한 사업모델은 이미 도입되고 있고 이번 전시회에서 다양하게 소개된다”고 덧붙였다.
특히 한국은 수소 부가가치 사슬 전반이 빠르게 발전하는 나라라고 설명했다. 정 위원장은 “세계의 수소에 대한 인식이 급변하고 있고 특히 수소차는 충전시간 5분 내외, 1회 충전 시 주행거리 1000km에 공기정화 기능까지 더해져 최근 더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면서 “우리나라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수소 생산에서 저장, 운송, 활용까지 이어지는 수소 부가가치 사슬 전반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구축해 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수소모빌리티+쇼 조직위원회는 이번 수소모빌리티쇼의 기술 위주 전략에 대해 높이 평가했다. 조직위원회는 ”한국은 ▲탄소배출이 없는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수전해 기술 ▲수소의 장거리, 대용량 운송에 필요한 액화・액상 등의 수소 저장운송 기술 ▲수송용 외에 건물 등의 태양광 발전용 연료전지 기술 등은 많은 연구기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해외기업 대비 미흡하다”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R&D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이번 전시회에는 모빌리티, 충전인프라, 생산, 저장, 이동 등 생태계 전반의 기술기업들이 참여할 뿐만 아니라 스웨덴,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수소강국의 기술기업들이 참여해 최고의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라면서 “전시회는 수소 기업간 기술교류와 미래 기술을 위한 협력파트너를 찾는 좋은 플랫폼을 제공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특히 정 회장은 “우리나라 경제구조상 2050년 탄소중립과 2030년 기존 목표대비 35%이상 탄소감축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 제한적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민간은 탄소중립실현의 확실한 수단인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과 기술혁신에 노력해갈 필요가 있다”면서 “정부는 민간의 이러한 노력에 대해 세제와 금융, 기술과 인력 등 다각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소비자경제신문 노정명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