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TDF 시장 점유율 43.7%…3조 219억원 기록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올해 2월 수탁고 2조원을 돌파한 지 반년 만에 국내 운용사 최초로 TDF(타겟데이트펀드) 수탁고가 3조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8월 31일 시장 국내 시장 규모는 6조 9150억원이며 이 중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국내 최대 TDF 운용사로서 국내 TDF 시장 점유율 43.7%인 3조 219억원을 기록했다. 

TDF는 가입자의 목표 은퇴 시기에 맞춰 주식 등 위험자산과 채권 등 안전자산 비중을 조정해주는 펀드다. 2011년 선제적으로 TDF를 출시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18년말 3755억원 규모에서 2019년 11월 1조원을 돌파했고 2021년 2월에는 2조원을, 8월에는 3조원을 돌파했다.

[사진=미래에셋자산운용]
[사진=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WM연금마케팅부문장 류경식 전무는 “연금자산 운용에 익숙치 않은 투자자들이 투자자산 비중을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미래에셋 TDF에 관심이 많다”며 “미래에셋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투자자가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는 종합적인 연금솔루션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자산배분 TDF와 전략배분 TDF의 총 13가지 상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자산배분 TDF는 주식·채권·부동산 및 원자재 등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며 전략배분 TDF는 기본수익전략(시중금리+α 수익 추구), 시장중립전략(절대수익 추구), 멀티인컴전략(인컴 수익 추구), 자본수익전략(자산가격 상승 추구) 등 전략에 분산 투자한다. 8월말 기준 자산배분 TDF는 4801억원, 전략배분 TDF는 2조 5418억원으로, 올해 각각 1554억원, 1조 1245억원 증가했다.

미래에셋 TDF 중 규모가 가장 큰 펀드는 8627억원 규모의 ‘미래에셋전략배분TDF2025혼합자산자투자신탁’이다. 안정적이고 우수한 성과로 인기가 많은 이 펀드는 2017년 3월 13일 설정 이후 8월말까지 수익률이 42.82%에 달하며 최근 3년 동안 1년 수익률은 각각 29.32%, 12.70%다. 펀드는 올해 3188억원 유입돼 미래에셋 TDF 중 가장 많은 자금유입을 보였다.

자산배분 TDF 중 규모가 가장 큰 펀드는 ‘미래에셋자산배분TDF2025증권자투자신탁’이다. 펀드는 2535억원 규모로 올해 567억원 자금이 유입됐다. 8월말 기준 펀드의 최근 3년, 1년 수익률은 각각 29.82%, 11.80%다.

국내 TDF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2018년말 1조 3707억원이었던 국내 TDF 시장 규모는 2019년말 2조 8799억원으로, 2020년말에는 4조 2043억원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올해에만 2조 7107억원 증가해 8월말 기준 6조 9150억원에 이르고 있다. 운용사와 펀드 갯수도 증가해 2018년말에는 8개 운용사가 57개 펀드를 운용했으나 현재는 14개 운용사가 121개 펀드를 운용 중이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세라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