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중 접종계획 발표 예정
12∼17세 276만명 화이자 접종
임신부 27만명 mRNA 접종 검토
기본 접종 후 6개월 뒤 ‘부스터샷’
그동안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에서 제외됐던 12∼17세 소아·청소년과 임신부도 접종을 받을 전망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은 30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예방접종전문위원회(접종위)가 지난 25일 열린 회의에서 임신부 및 12∼17세 연령층에 대한 백신 접종 여부를 심의해 이같이 권고했다”고 밝혔다.
접종위는 접종 대상자에 소아·청소년, 임신부를 포함한 것과 관련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 “최근 화이자 백신 접종 연령을 12세 이상으로 확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통해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인됐다. WHO와 미국·일본 등 주요 국가에서도 접종 후 효과와 안전성이 확인되고 있다. 임신부 역시 코로나19 감염 고위험군이며 현재까지 예방 접종의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를 비롯해 미국·영국 등 주요국에서 접종을 권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추가 접종 대상이 되는 12∼17세 인구는 276만명, 임신부는 27만명 정도로 추산된다. 접종위는 이들에 대해 백신별 접종 권고 횟수를 맞은 뒤 6개월 후 예방효과 보강을 위한 추가 접종인 ‘부스터샷’을 접종할 것도 권고했다.
정은경 추진단장은 소아·청소년 접종 백신과 관련해 “현재 화이자 백신이 12세 이상으로 허가가 나와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화이자 백신을 주로 접종할 계획이다. 모더나 백신은 현재 식약처에서 접종 연령 하한선을 12세로 조정하는 허가 변경 사항을 검토 중이기 때문에 변경이 진행되면 접종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임신부의 경우 현재는 mRNA(메신저리보핵산) 계열 백신을 주로 접종할 것으로 검토 중이다”고 덧붙였다.
추진단은 9월 중 소아청소년·임신부 및 추가접종에 대한 접종 계획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추진단은 “18∼49세 대상 1차 접종을 9월까지 마무리한 후 4분기부터 소아청소년·임신부 접종 시행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교육부 등 관계부처와 대한산부인과학회·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등 관련 학회가 해당 대상군의 접종을 위한 구체적인 시행 방안을 마련 중이다. 소아·청소년의 경우 수험생 등을 대상으로 진행한 학교별 단체 접종보다는 학부모와 학생의 동의 기반으로 개별적 의료기관 방문 접종을 적용할 예정이다.
추진단 발표보다 소아청소년·임신부 대상 접종 시기가 다소 빨라진 점과 관련해선 “앞서 8∼9월 예방접종 시행계획 발표 당시에도 4분기에 소아·청소년과 임신부, 미접종자에 대한 접종을 계획하고 있다고 안내했었기에 접종 시기가 앞당겨진 것은 아니다”면서 “4분기 접종계획 준비 과정 중 접종위를 열어 기본적인 실시 기준 권고 사항을 검토했다. 이를 기반으로 예방접종지침·안내문·이상반응 조사계획 등 구체적인 세부 시행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라고 설명했다.
접종대상 확대가 전체 접종률에 미칠 영향에 대해 정 단장은 “18세 이상 접종률에 더해 미접종자, 소아·청소년의 접종 참여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예상하긴 어렵다”면서 “3분기 정도까지 대다수 국민의 1·2차 접종이 어느 정도 진행되기 때문에 4분기 추가접종 대상의 규모는 그렇게 클 것 같지 않다”고 전망했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세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