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서 급등…전세난에 따른 불안심리 작용

연합뉴스.
연합뉴스.

서울 아파트를 사들이는 20대 젊은 세대들이 늘고 있다. 20대 이하의 아파트 매수 비중이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1일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매입자 연령대별 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 서울 아파트 매수 건수는 5090건으로 이 가운데 277건(5.4%)이 20대 이하가 매수한 것으로 집계됐다. 

20대 이하의 서울 아파트 매수 비중은 지난해 10월 5.1%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9년 이후 처음 5%를 넘겼다. 12월에는 5.3%까지 상승했다. 이후 올해 1월(5.1%)과 2월(4.2%) 하락세를 보이다 3~5월 기간 4.5%→5.2%→5.4%로 3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구별로는 종로구가 11.1%로 가장 높았다. 이어 노원구(9.2%), 도봉구(8.9%), 구로구(7.8%) 등에서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졌다. 집값이 높은 지역인 강남권 3구(강남·서초·송파)의 상승세가 돋보인다. 2.7%를 기록했던 1월 이후 2월 2.7%, 3월 3.1%, 4월 4.5%, 그리고 5월 5.8%로 역대 최고치를 써냈다. 

서울 중소형(전용면적 60㎡ 초과∼85㎡ 이하)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10억원을 넘는 상황에서 20대 이하의 강남권 아파트 매입은 사실상 부모의 도움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부모가 성인 자녀에게 현금 증여 시 5000만원까지는 비과세가 가능하다. 하지만 금액이 높아질수록 증여세율이 올라가기 때문에 부모와 자식 간에 차용증을 써 공증까지 하고 매달 이자를 내며 증여세를 회피하는 편법이 적잖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반기 전세 대란이 예고되고 있는 가운데 아파트값도 고공행진이 계속되고 있어 ‘어차피 집값은 계속 오른다’라는 심리가 작용해 더 20대 이하 연령층이 일찌감치 아파트 매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소비자경제신문 오아름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