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드러운 소주 시대를 연 ‘처음처럼’이 더 부드러워지고 있다. 올해부터 16.5도로 다시 알코올 도수를 낮추며 부드러운 소주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2006년 2월 세계 최초로 알칼리 환원수를 사용한 ‘처음처럼’으로 소주업계에 신선한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처음처럼’은 참이슬이 주도하던 국내 소주시장에서 알칼리 환원수 사용과 감성적 브랜드명, 차별화된 마케팅 등으로 단기간에 소주시장을 강하게 흔들었다. ‘처음처럼’은 출시 17일만에 1000만병, 6개월도 안돼 1억병이 판매되는 등 소주와 관련된 각종 판매 기록을 모두 갈아치우며 새로운 돌풍을 일으켰다. 

 

“더 부드럽게”…부드러운 소주의 대명사로 우뚝

‘처음처럼’은 소주 원료의 80%가량을 차지하는 물을 ‘알칼리 환원수’로 바꾸고 ‘물 입자가 작아 목 넘김이 부드러운 소주’ ‘세계 최초 알칼리 환원수 소주’임을 강조하며 단기간에 ‘명품 소주’로 자리매김했다.

21도가 주를 이뤘던 출시 당시 ‘20도 처음처럼’으로 부드러운 소주를 각인시켰고 2007년 도수를 19.5도로 낮추면서 1위 업체까지 동참하는 ‘19.5도 소주시대’를 이끌었다. 2014년 2월에는 ‘처음처럼’의 제품 특징인 ‘부드러움’을 더욱 강조하고자 7년 만에 알코올 도수를 1도 낮춘 ‘18도 처음처럼’을 출시해 ‘19도 벽’을 무너뜨린 데 이어 부드럽고 12월부터 17.5도를 다시 한번 리뉴얼했다.

또한 ‘처음처럼’의 대표적인 속성인 ‘부드러움’을 더욱 강조함과 동시에 저도화 되고 있는 주류시장의 소비 트렌드 등에 따라 2018년 4월 알코올도수 17.5도에서 17도로 0.5도 내려 부드러운 소주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지난해 12월부터 16.9도로 알코올 도수를 0.1도 낮추며 전국구 소주 주력 제품 중 최초로 16도 소주의 시대를 개척했다. 올해 1월부터는 16.5도로 다시 알코올 도수를 낮추며 부드러운 소주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흔들어라 캠페인’ 소비자에 큰 호응

‘처음처럼’은 술을 마신 다음 날에도 몸 상태가 원래대로 돌아온다는 뜻이다. 원료로 사용된 알칼리 환원수의 특징인 숙취가 적은 점을 강조한 것으로 소비자의 큰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2007년부터 시작한 ‘흔들어라 캠페인’은 소비자에게 알칼리 환원수로 만든 ‘처음처럼’의 흔들수록 부드러워지는 특징을 지속적으로 전달해 ‘처음처럼’이 부드러운 소주의 대명사임을 인식시켜 왔다.

또 2015년 인기캐릭터 ‘스티키몬스터랩’과 협업해 ‘처음처럼 스티키몬스터’를 선보였다. 피규어(사람, 동물 형태의 모형 장난감)를 취미로 하는 키덜트족(어린시절의 감성과 취향을 지닌 어른)이 증가하고 특정 캐릭터를 수집하는 컬렉터들을 공략했다.

‘처음처럼’의 이색 컬래버레이션은 계속 이어졌다. 2017년 웹툰 작가 ‘그림왕 양치기’도 큰 인기를 모았다. 직장인들의 애환을 풍자적으로 속 시원하게 그려내 ‘직장인 사이다’로 불리는 ‘그림왕 양치기’ 웹툰작가와 협업해 처음처럼 백 라벨에 ‘술 마실 때 왜 눈물이 나는 줄 아나? 짠하니까’, ‘우리 땐 이런 편한 회식 상상도 못했지, 나 땐 말이야…’, ‘이얏호! 저장 못했네…마치 처음처럼’ 등 직장인들이 평소 생활 속에서 겪는 에피소드를 유쾌하게 표현했다.

2018년 4월에는 일러스트레이터 ‘집시’와 컬래버레이션해 수지를 그림으로 표현한 한정판 패키지 2종을 선보였다. 지난해 4월에는 힙합씬에서 가장 핫한 래퍼 염따와 컬래버레이션해 한정판 제품 ‘처음처럼 플렉스(FLEX)’를 출시해 ‘플렉스 문화’에 익숙한 2030 젊은층과의 공감도를 높였다.

2018년 11월 열린  ‘수도권매립지 제2매립장’ 처음처럼 2호숲 식수식.  사진=롯데주류
2018년 11월 열린 ‘수도권매립지 제2매립장’ 처음처럼 2호숲 식수식. 사진=롯데주류

‘처음처럼’ 활용한 사회공헌 지속

‘처음처럼’을 활용한 사회공헌활동도 해마다 진행돼왔다. 롯데칠성음료는 수원지 등에 브랜드 숲을 조성하고 가꿔나가기 위해 2018년 4월 사회혁신 기업 ‘트리플래닛’과 ‘처음처럼 숲 조성’을 위한 업무 협약식을 체결했다.

첫 사업으로 2018년 4월 대형 산불피해를 입은 강원 삼척시의 산불 피해지역 약 1만 9800㎡(약  6000여평)에 ‘처음처럼 1호 숲’을 완공했다. 인천 수도권매립지의 3300㎡(약 1000여평)에 ‘처음처럼 2호 숲’, 삼척시에 위치한 1호 숲 인근에 추가로 1만 9800㎡(약 6000여평)에 ‘처음처럼 3호 숲’을 완공했다.

롯데칠성음료가 조성한 처음처럼 숲은 연간 약 2억 2500만리터의 빗물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약 84만 8000kg(승용차 1대가 220만 3000km를 주행 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514만kg의 산소를 생산, 208만 9000kg의 미세먼지를 저감(공기청정기 4억 1300만시간 가동시킬 경우 정화량)하는 생태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단순히 나무를 심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물 인터넷 기술을 활용해 토지 습도 관리, 숲 주변 대기 상태 측정 등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산불 피해 이전보다 더욱 울창한 숲을 가꿔 나갈 계획이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제품 출시 이후 ‘목넘김이 부드러운 소주, 처음처럼’을 일관되게 마케팅하며 국내 소주시장 양대산맥으로 자리매김 했다”면서 “앞으로도 소비자와 소통할 수 있는 마케팅과 사회공헌을 계속해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소비자경제신문 노정명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