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보란 듯 현대차 ‘반값 전기차’ 선방
전기차 대중화 당겨질 듯…정부는 충전 인프라 확대방안 제시

[소비자경제] 김세라 기자 = 전기차 판매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4월 국내 판매를 앞두고 있는 현대자동차가 관련 업계와 정부와 손잡고 ‘반값 전기차’ 사업을 본격화한다.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를 대여해 차값을 절반으로 낮추겠다는 방침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업계와 소비자들은 가격이 얼마나 더 싸질 것인가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 대여는 쉽게 말해 자동차 리스와 같은 구조다. 전기 택시를 운영하는 KST모빌리티가 현대차에서 전기차를 산 뒤 배터리 소유권을 따로 현대글로비스에 판 뒤 현대글로비스에 매월 배터리 사용료를 내다가 다 사용하고 난 뒤 배터리를 반납하는 순서다. 이때 다 사용한 배터리를 LG에너지솔루션이 사들여 다시 ESS, 에너지저장장치 충전기로 개발해 KST 모빌리티에 되파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KST모빌리티는 싼값에 전기 택시를 운영하고 전기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일반 대중에 대한 판매도 비슷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사실 반값 전기차는 지난해 테슬라가 ‘배터리데이’때 꺼낸 말로 이후 테슬라는 빠르고 구체적인 행보를 보였다. 지난달 테슬라는 컨퍼런스 콜을 통해 “하반기부터 독일과 미국 공장에서 생산 가격이 반 이상 저렴한 신형 배터리를 장착한 ‘모델Y’ 차량 생산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테슬라는 올해 변경된 전기차 보조금 기준을 반영해 발 빠르게 가격을 인하했다.

이에 맞서 현대차도 경쟁 모델인 아이오닉5 가격을 당초 계획보다 낮출 전망이다. 전기차 1위 테슬라의 공격적 원가절감이 국내 기업들을 조급하게 했으나 소비자입장에선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전기차 대중화도 앞당겨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정부는 충전 인프라 확대 방안을 내놓고 있다.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전기차 충전기를 50만개 이상 확충 및 20분 충전으로 300km를 갈 수 있는 초고속 충전기 보급도 본격화할 예정이다. 더불어 수소차 충전소도 오는 2025년까지 450기를 설치해 전국 어디서든 30분 안에 갈 수 있게 할 방침이다. 또한 친환경차 전용 플랫폼을 구축하고 부품 소재를 국산화해 친환경차 가격을 1000만원 이상 낮출 계획이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세라 기자

 

npce@dailycnc.com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