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집값은 지난 10년동안 상승해왔습니다. 그렇다면 국회의원들이 보유한 아파트의 가격은 얼마나 올랐을까요?

경실련은 26일 무소속 박덕흠 국회의원이 보유한 아파트의 가격이 지난해 기준 107억원이라고 밝혔습니다. 박덕흠 의원이 보유한 아파트는 총 3채로 강남구 삼성동과 송파구 잠실동, 충북 옥천에 위치해 있습니다. 박덕흠 의원은 지난해 8월까지 국토교통위원회 소속으로 활동했는데  2014년 강남 재건축 특혜3법에 찬성표를 던지고 통과시키면서 보유한 강남 아파트 2채 값이 법 통과 이후 지난해까지 73억 원이상 오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가족들이 수백억 원대 공사를 수주받을 수 있도록 도왔다는 의혹을 받아 국회의 신뢰를 훼손 했다는 평가를 받아왔습니다. 

부동산투기 의혹으로 더불어민주당에서 제명된 양정숙 의원은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과 서초구 반포동에 67억원에 달하는 아파트 2채를 소유했습니다. 양정숙 의원은 지난해 4월 총선 당시 부동산 5곳를 포함한 재산 약 92억원을 신고했는데 국회에서는 이를 두고 부동산 실명제 위반 및 명의 신탁 의혹 등이 연이어 터져나왔습니다. 부동산 실명제의 경우 남동생의 명의로 서울 강남 대치동 아파트와 서울 송파구 송파동 건물을 산 것이 문제로 제기되었습니다. 2015년 어머니로부터 상속받은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아파트에 대해서도 명의신탁 의혹이 일었습니다. 양정숙 의원은 논란이 일자 원 소속인 더불어시민당(더불어민주당 비례 위성정당)으로부터 제명되었습니다.

박병석 국회의장은 집값 상승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았습니다. 박병석(무소속) 국회의장이 보유한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는 지난 2011년 27억원에서 2020년 57억 8000만원으로 10년간 총 30억 7500만원(113.8%)의 상승했습니다. 이 다음으로 많이 오른 아파트는 박덕흠 의원의 서울 강남구 삼성동의 아파트로 44억원에서 69억원으로 10년간 25억원(56.8%)가 상승했습니다.

경실련 부동산건설개혁본부 김성달 국장은 기자회견에서 “올해 고위공직자 자산 신고를 할 때 보유 부동산의 시세대로 신고를 의무화하고, 보유 부동산의 소재 등 상세한 정보를 함께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경실련의 이번 조사는 21대 국회의원 중 아파트 재산 신고액 상위 30명(더불어민주당 5명, 국민의힘 18명, 무소속 7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습니다. 전체 조사대상 국회의원이 가지고 있던 아파트는 51채로 이 중 74.5%인 38채가 서울에 있었고 28채는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소비자경제신문 권찬욱 기자입니다.

자료=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자료=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자료=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자료=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