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장관·연준의장·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 역임하는 첫 인물
저명 노동경제학자·기후변화대응 적극
코로나19 경제위기 대응 및 해결이 과제

재닛 옐런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AP=연합뉴스
재닛 옐런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바이든 행정부의 재무장관으로 낙점될 전망이다.  AP=연합뉴스

미국 대선 이후 바이든 행정부의 주요인선 구성이 세계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미국 역사상 최초의 여성 재무장관이 나올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재닛 옐런(74) 전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차기 행정부의 초대 재무장관으로 지명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공식 지명 후 상원 인준을 통과하면 옐런 전 의장은 미국 역사상 최초의 여성 재무장관이 된다.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을 역임한 바 있는 옐런에 대해 WSJ은 “미 재무장관과 중앙은행장(연준 의장),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을 모두 역임한 최초의 인물이 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뉴욕타임스(NYT) 역시 유력한 소식통을 인용해 옐런 전 의장의 낙점 소식을 전했으나 옐런 전 의장 본인은 언론의 확인 요청에 답하지 않고 있다.

옐런 전 의장은 뉴욕시 브루클린 태생으로 브라운대 졸업 후 예일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노동 경제학자다. 하버드대 조교수, 연준 이사회 이코노미스트, 런던정경대 강사를 거쳐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를 역임한 그는 1997년 클린턴 행정부의 대통령 경제자문위원장을 맡으면서 공직에 발을 들였다.

이후 2004∼2010년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를 지낸 뒤 연준 부의장을 거쳐 2014년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에 의해 연준 의장으로 지명됐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미 통화정책을 지휘한 옐런 전 의장은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고 노동시장 개선을 견인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CNBC방송은 “옐런 전 의장이 4년의 재임 기간에 기준금리를 5번밖에 올리지 않았고 임기 말에서야 비로소 금융위기 시절 양적완화에 따라 연준이 매입한 4조달러 규모의 자산을 축소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2018년 임기를 마친 옐런 전 의장은 연임을 희망했으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현 의장을 앉히면서 단임으로 물러났었다. 퇴임 후 브루킹스연구소에서 근무한 옐런 전 의장은 대선 전 바이든 민주당 대선후보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후보의 경제정책에 관해 조언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지난 8월 바이든 캠프 주최 비공개 경제 브리핑에 참석한 사실이 크게 보도됐었다.

민주당의 상원 다수당 탈환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옐런 전 의장의 재무장관 지명은 바이든 당선인에게 있어 정치적으로 안전한 선택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바이든 당선인은 재무장관 후보로 월스트리트 자본가들에게 비판적인 진보 성향의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 등도 검토했으나 인준 과정에서 공화당 상원의원들의 찬성을 얻기 어렵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반면 2014년 연준 의장 인준 때 공화당 상원의원 11명의 지지를 얻은 바 있는 옐런 전 의장은 ‘코로나19 위기’라는 절박한 시국과 맞물려 재무장관 인준에서도 초당적 지지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에 적극적인 옐런 전 의장은 ‘탄소배출세 도입’을 주장하는 등 민주당 내 진보 진영으로부터도 호감을 얻은 것으로 전해졌다. 공적 채무 관리 및 외국에 대한 경제 제재 집행, 납세 현황 감독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미 재무장관직은 미국의 경제를 선두에서 이끄는 ‘일등항해사’에 비유된다. 특히 옐런 전 의장은 취임 즉시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대량 실업위기 해소와 추가 경기부양 패키지 협상이라는 어려운 과제를 떠맡아야 할 전망이다.

옐런 전 의장의 재무장관 낙점 소식을 반기라도 하는 듯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장중 200포인트 안팎의 오름세를 보이다 WSJ 보도 직후 상승폭을 확대해 327.79포인트(1.12%) 오른 29591.27로 마감했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세라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