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기부터 성평등 바탕 ‘돌봄과 교육’ 실현
“여자는 ~해야지” “남자니까~!” “아빠다리로 앉아볼까?”

‘아빠다리’ 대신 ‘나비다리’ 세계 어린이의 날을 맞아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은 어린이집과 유치원·학교에서 어린이들이 자주 접하는 성차별적 대화와 개선안을 담은 ‘서울시 성평등 어린이사전’을 발표했다.  사진=서울시
‘아빠다리’ 대신 ‘나비다리’ 세계 어린이의 날을 맞아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은 어린이집과 유치원·학교에서 어린이들이 자주 접하는 성차별적 대화와 개선안을 담은 ‘서울시 성평등 어린이사전’을 발표했다.  사진=서울시

20일 세계 어린이의 날을 맞아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은 어린이집과 유치원·학교에서 어린이들이 자주 접하는 성차별적 대화와 개선안을 담은 ‘서울시 성평등 어린이사전’을 발표했다. 서울시 성평등 어린이 사전은 지난 4∼9일 시민 1053명의 의견을 받아 제작됐다. 제안자 가운데 여성은 73.6%, 남성은 26.4%였고 연령대는 30대가 45.2%로 가장 많았다.

백미순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는 “어린이들이 집 이외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에서 아직도 성차별 개선 과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아동기부터 성평등을 바탕으로 한 돌봄과 교육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전 제작에 의견을 낸 시민들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선생님과 아이들이 대화할 때 성별 아닌 개인 특성에 맞춰 대화하는 편이 좋겠다”고 제안했다. 예를 들어 ‘예쁜 나은이’보다 ‘밝은 나은이’가 더 성평등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한쪽 다리를 오그리고 다른 쪽 다리를 그 위에 포개고 앉는 자세인 ‘양반다리’를 일컫는 ‘아빠다리’의 경우 앉았을 때 다리 모양을 본떠 ‘나비다리’로 바꿔 부르자고 했다.

백미순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는 “아동기부터 성평등을 바탕으로 한 돌봄과 교육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성평등(PG)제작 이태호=연합뉴스
백미순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는 “아동기부터 성평등을 바탕으로 한 돌봄과 교육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성평등(PG)제작 이태호=연합뉴스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흔히 쓰이는 ‘형님반’이라는 명칭은 성별 구분 없는 ‘7세반’이나 ‘나무반’ 등으로 고쳐야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학예회나 역할극을 할 때 ‘여아는 발레, 남아는 태권도’ 식의 성별 고정관념이 아직 남아있다는 의견과 학용품 색상이나 생일파티 옷차림을 성별에 따라 달리 정해주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남녀짝꿍’ 제도 역시 짝의 성별을 고정하는 만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과 ‘어머님’으로 시작하는 알림장 또한 보호자 역할을 엄마에게만 부여해 성차별적이라는 의견도 제시됐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세라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