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잇단 사망 사과·과로사 대책 발표
“분류지원 4천명 투입해 택배기사 근무 단축”
전원 산재보험·매년 건강검진…분류자동화 확대
​​​​​​​상생협력기금 100억원 조성해 긴급생계금 지원

박근희 CJ대한통운 대표이사가 22일 서울 중구 태평로빌딩에서 택배 노동자 사망 사건과 관련해 사과문을 발표하기 전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왼쪽부터 CJ대한통운 한광섭 커뮤니케이션실장, 최우석 택배본부장, 정태영 택배부문장, 박희근 대표이사. 사진=연합뉴스
박근희 CJ대한통운 대표이사가 22일 서울 중구 태평로빌딩에서 택배 노동자 사망 사건과 관련해 사과문을 발표하기 전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왼쪽부터 CJ대한통운 한광섭 커뮤니케이션실장, 최우석 택배본부장, 정태영 택배부문장, 박희근 대표이사. 사진=연합뉴스

택배 근로자의 과로사가 없어질 것인가? 결국 국내 최대 택배회사인 CJ대한통운이 최근 잇따르고 있는 택배기사 사망과 관련해 공개 사과했다. 분류지원인력 4000여명을 투입해 작업시간을 줄이고 내년 상반기 안에 모든 택배기사가 산재보험에 가입토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경영진의 공개 사과는 택배업계에서 처음 있는 일로 “향후 택배 근로환경 개선에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시민단체 또한 “CJ대한통운의 발표는 택배 산업 현장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는 첫걸음으로서 의미 있는 진전이다”면서 환영의 뜻을 밝히며 정부와 정치권에 노동자 보호를 위한 추가 조처를 요구했다.

박근희 CJ대한통운 대표이사는 22일 서울 태평로빌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연이은 택배기사 사망에 대해 사과한다”면서 “CJ대한통운 경영진 모두가 지금의 상황을 엄중하게 받아들이며 재발 방지 대책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CJ대한통운은 우선 택배 현장에 별도의 분류지원인력 4000명을 11월부터 단계적으로 투입해 택배기사들의 작업 시간을 줄일 계획이다. 현재 CJ대한통운에서 일하고 있는 분류 인력은 1천명으로, 이를 총 4천명 규모로 확대한다.

정태영 CJ대한통운 택배부문장은 “현재 택배 현장에는 자동분류설비인 휠소터가 구축돼 있어 분류 지원 인력을 추가로 투입하면 택배기사들의 작업 시간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면서 “분류 업무를 하지 않게 된 택배기사들은 오전 업무 개시 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시간 선택 근무제도’를 활용할 수 있어 근무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또 전문기관을 통해 하루에 배송할 수 있는 적정 물량을 산출해 이를 현장에 적용하키로 했다. 택배기사 3~4명으로 이뤄진 팀이 업무를 분담하는 ‘초과물량 공유제’를 도입해 특정 기사에게 부담이 몰리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또 휠소터의 오분류 문제는 기술 개발을 통해 최소화하기로 했다.

서울시 서초구 CJ대한통운 강남2지사 터미널 택배분류 작업장. 사진=연합뉴스
서울시 서초구 CJ대한통운 강남2지사 터미널 택배분류 작업장. 사진=연합뉴스

전체 물량의 90%에 달하는 소형 택배 화물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 전용 분류 장비를 추가 마련하는 등 현장 자동화 수준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CJ대한통운은 산업재해보험 적용 예외 문제에 대한 대책도 발표했다. 정태영 부문장은 “올해 말까지 전체 집배점을 대상으로 택배기사 산재보험 가입 여부를 조사하고 내년 상반기 안에 모든 택배기사가 산재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더해 현행 격년제인 택배기사 건강검진 주기를 1년으로 단축해 비용을 회사가 전액 부담하고, 지원 항목에 뇌심혈관계 검사를 추가한다고 밝혔다. 내년까지 100억원 규모의 상생협력 기금을 조성해 택배기사 긴급생계지원 등 복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올해 과로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택배 노동자는 총 13명으로, 이들 중 CJ대한통운 소속 택배기사는 6명이다.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는 22일 입장문에서 “과로사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 ‘분류 작업’에 인력 4000명을 추가 투입하겠다는 CJ대한통운의 발표는 택배 산업 현장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는 첫걸음으로서 의미 있는 진전”이라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어 대책위는 “해당 대책의 이행 계획과 점검 등을 논의하기 위한 ‘민관공동위원회’에 대한 언급이 없다”면서 “정부와 국회가 공동위 구성을 제안하고 CJ대한통운이 대승적으로 화답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소비자경제신문 노정명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