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욱 위원장 “어느 때보다 중요한 기업상생”
김기남 부회장 “더불어 성장…동반성장 기반 마련”
협력회사 경쟁력 제고 위한 활동 지원 기대
삼성그룹은 삼성전자, 삼성물산, 호텔신라 등 11개 계열사가 총 5330개에 이르는 협력회사와 공정거래 협약을 체결했다. <삼성-협력회사, 공정거래 협약식>이 28일 수원 삼성 디지털시티에서 개최됐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로 참석자를 제한해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기와 1·2·3차 9개 협력회사가 대표로 참여했다. 공정위가 실시하는 협약 이행평가 결과가 우수한 기업은 직권조사 면제 등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협약식에 참석한 삼성전자 김기남 부회장은 “이번 협약식을 대기업과 중소협력사가 더불어 성장하는 하나의 운명공동체로서 한 차원 높은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협약식에는 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삼성전자 김기남 대표이사(부회장)·삼성전자 최윤호 사장·삼성디스플레이 이동훈 대표이사(사장)·삼성전기 경계현 대표이사(사장)·삼성전자 김영재 협력회사 협의회(협성회) 회장(대덕전자 대표이사)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삼성측은 “공정거래문화 정착과 동반성장 활동이 3차 협력회사로까지 확대되는 토대를 마련했다”며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불확실한 경영환경 아래 삼성과 협력회사는 함께 노력해 경쟁력 제고 및 상생하는 산업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삼성은 지난 2011년부터 삼성-1차 협력회사간 1차-2차 협력회사간 협약을 맺어 왔다. 이후 2018년부터는 2차-3차 협력회사간 협약까지로 범위를 확대했다.
이번 협약식에 참석한 공정거래위 조성욱 위원장은 이날 삼성전자 디지털시티를 찾아 5G 장비 생산라인을 살펴본 후 전자업계 간담회 및 공정거래 협약식에 참석했다.
“지난해 일본의 핵심 전자 소재부품 수출 규제에 이어 올해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전자산업이 전례 없는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말문을 연 조 위원장은 “진정한 의미의 상생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대기업의 1차 협력사뿐만 아니라 2·3차 협력사까지 그 온기가 충분히 전달돼야 한다. 삼성그룹과 하위 협력사들이 이를 인식하고 2011년부터 공정거래협약 제도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오고 있다”며 삼성의 상생노력을 높이 평가했다.
또한 조 위원장은 “삼성전자의 1차 협력사가 2차 협력사에 하도급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한 비율이 90%에 이르고 지급기일도 법정기한의 3분의 1 수준인 24일 이내”라는 점 등 협약 제도를 통한 상생의 낙수효과를 언급했다.
조 위원장은 “공정경제가 뒷받침돼야만 시장의 성과가 기업과 산업 전체의 지속가능한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고 공정위는 하도급업체의 협상력 강화·피해기업 권리구제의 실효성 확보 등 공정경제의 제도적 기반을 다지는 데에도 역량을 집중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조 위원장은 삼성그룹에게는 “협력사에 대한 불공정행위를 근절하고 하위 단계 협력사들 간 거래관행 개선에도 적극 힘써달라”는 당부와 협력사에게도 “공정거래 관련 법령 준수에 적극 동참해 달라”는 말을 전했다.
이날 체결된 삼성·1차 협력사 간 협약서에는 표준하도급계약서 사용/생산·단종 계획 등 주요정보 사전알림시스템 운영/상생펀드를 통한 협력사 지원/공동기술개발·특허출원 지원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1·2차 협력사, 2·3차 협력사 간 협약도 체결됐다. 협약에는 마감일 후 30일 이내 현금 지급을 노력한다는 내용과 대기업의 상생협력 자금·기술개발 및 인력지원 등 혜택의 하위 협력사와의 공유 등이 담겨 있다.
소비자경제신문 오아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