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광화문 일대 종합발전계획 수립…10월말 공사 시작
중앙광장서 편측광장으로 변신…경복궁 월대 2023년 복원
서울의 광화문광장이 확 바뀐다. 광장서쪽은 공원으로, 동쪽은 양방향 차로로 조정된다. 광화문광장은 세종문화회관 쪽으로 공원화된다.
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걷기 좋고 자연 친화적인 공간으로 거듭날 것으로 보인다. 보행 환경은 개선되지만 차로가 줄어드는 만큼 차량 정체는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서울시가 27일 광화문광장 일대 변경 계획을 공개했다. 광화문광장 양쪽의 세종대로 중 동측 도로는 일부 확장하고 서측 도로는 없애며 사직로는 유지한다는 내용이다.
시는 지난해 중순부터 광화문광장 재구조화를 추진하면서 광화문광장을 넓히고 도로를 줄이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정부서울청사를 관리하는 행정안전부, 광화문 일대 주민 등의 반대에 부닥쳐 사업이 오랜 기간 늦춰졌다.
시는 “광장 인근 교통대책 등은 지역주민, 행정안전부, 문화재청 등 관계기관 협의와 각종 사전 행정·심의 절차를 통해 확정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세종문화회관과 광화문광장 사이 서측 도로를 없애고 이 공간을 광장으로 편입하기로 했다. 광장으로 두되 꽃과 나무를 심어 ‘도심 속 공원 같은 광장’으로 꾸민다. 시는 “시민 선호도 여론조사와 전문가 의견, 주변 건물과의 연계성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안”이라고 설명했다.
지하 공간은 개발하지 않는다. 시는 현재 지하에 있는 해치마당을 리모델링하는 수준에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근 지역 상권 침체와 지하 매장 문화재 훼손 우려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광장을 중심으로 동서로 나뉘었던 양방향 통행 기능은 미국대사관쪽 동측 도로로 합쳐진다. 동측 도로 차로는 현재 5개 수준에서 7∼9개로 확장한다. 주행 차로는 7개가 된다.
시는 “광화문 일대 평균 통행속도가 저하될 것이라는 우려를 고려해 교통량 우회 및 분산처리로 도심 교통량 수요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광장 주변 교통 운영체계를 세부적으로 개선해 현행 수준의 통행 속도를 유지하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10월 말부터 동측 도로 확장 공사에 들어간다. 광화문 재구조화의 논란거리 중 하나였던 경복궁 월대(月臺) 복원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광화문 월대는 사직로 차량 흐름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내년 상반기 관계기관과 협의해 하반기 정밀 발굴조사를 진행하고 2023년까지 월대 등 문화재를 복원하겠다”고 밝혔다.
소비자경제신문 노정명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