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부터 동네의원까지 참여
진료·수술 미뤄져…환자들 피해
의협 투쟁 유지하며 정부와 실무협의 착수
대한의사협회, 대한전임의협의회, 대한전공의협의회 등 의료계는 의과대학 정원확대 및 공공의대 신설 등 정부의 의료정책에 반대해 26일(수)∼28일(금)까지 전국의사 2차 총파업을 벌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재확산되고 있는 상황가운데 대학병원 전공의부터 전임의, 동네 의원에 이르기까지 전국 모든 의사들의 파업예정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와 의료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코로나19가 심각하게 번지고 있는 상황에서 의료파업이란 의사단체와 정부 모두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 때문에 의료계와 정부가 대화와 타협으로 조속한 진료 정상화를 위해 타협점을 찾고 합의안 마련을 할 가능성도 있다.
지난 7일 전공의 집단휴진이나 14일 전국의사 1차 파업 때와는 달리 대한의사협회의 이번 2차 집단휴진에는 모든 직역 의사들이 참여하고 기간도 길어 그 여파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더군다나 지난 21일부터 단계적 파업에 돌입한 전공의들의 업무공백을 메꾸던 전임의 등도 가세해 그 파장은 더 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전공의들은 3일간의 파업에 참여 후에도 현장복귀하지 않고 무기한 파업을 벌인다고 선언했다. 대학병원 핵심 인력을 구성하는 이들의 부재는 불가피하게 의료 시스템에 차질을 주고 있다. 아무래도 가장 큰 피해자는 환자들이다. 전공의들이 파업에 들어간 며칠 후 서울 시내 주요 대학병원에서 응급실 중환자를 받지 않겠다고 했으며, 예약날짜에 진료를 받지 못하거나 뇌종양 수술이 연기되는 사례도 나왔다.
전공의 파업 나흘째인 지난 24일 삼성서울병원은 급하지 않은 수술 10건을 연기하고 신규 입원을 줄였다. 인력 부족으로 의료 서비스 규모를 줄인 것이다. 삼성서울병원 관계자는 “교수들이 맡아왔던 외래진료는 그나마 운영되고 있지만 전공의가 없어 수술은 축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전공의에 이어 전임의도 파업에 동참한 서울대병원 또한 마찬가지 상황이다. 서울대병원 관계자는 “진료과마다 사정이 다르지만 일부 외래진료 환자의 대기시간이 길어졌고, 예약환자의 스케줄을 변경하고 있다”고 전했다.
의료계와 정부가 의대 정원확대 등 의료정책을 놓고 첨예하게 맞서고 있는 가운데, 지난 23~24일 정세균 국무총리가 대한전공의협의회와 대한의사협회를 만났지만 견해차를 좁히지 못한 체 별소득 없이 대화를 마쳤다. 그렇다고 대화를 통한 해결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코로나19라는 엄중한 상황의 고려로 양측이 즉각 실무협의에 착수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정부와 논의가 시작되면서 전공의들은 코로나19 진료에 한정해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로 했다. 정부도 의료계와 진정성 있는 열린 자세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함께 논의해서 개선 방안을 모색하겠고 밝혔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세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