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점 등 필수 시설 오후 9시 이후 영업 중단
학교·유치원, 등교 중단하고 원격수업 전환
정부가 결국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을 위한 준비에 착수한다. 하루 평균 확진자 수가 200명에 육박하고 ‘깜깜이 환자’ 비율도 급증하는 등 최근 코로나19 확산세가 3단계 격상기준에 근접했기 때문이다.
사회적거리두기 3단계가 시행될 경우 사회·경제활동에 큰 제약이 따른다. 일단 3단계 하에서는 10인 이상의 모임이 금지되고 필수적인 공공·기업 활동만 허용된다.
또 모든 공공시설은 운영을 멈추고 민간에서는 클럽·PC방 등 고위험시설뿐만 아니라 중위험 시설도 운영이 중단된다. 음식점이나 필수 산업시설과 거주 시설 정도만 영업을 할 수 있으나 이마저도 오후 9시 이후에는 영업을 중단해야 한다. 학교와 유치원은 등교 수업을 중단하고 휴교에 들어가거나 원격수업으로 전환된다. 모든 스포츠 경기와 행사도 중단된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최근 브리핑에서 “확진자 분포 등을 내부적으로 늘 분석하고 있다”면서 “현재 2단계 조치를 시행하면서도 나타나는 여러 가지 현장에서의 어려움이 있는데 이 균형점을 찾는 것이 매우 어려운 숙제다”고 말했다.
반면 감염병 전문가들은 조기에 감염 확산세를 잡고 일상 생활의 회복을 위해서라도 3단계 격상이 시급하다고 경고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4일 최근 2주간(8월10~23일) 코로나19 지역발생 확진자는 총 2625명으로, 일평균 187.5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기준 중 하나에 해당한다. 여기에 13일(47명)과 14일(85명), 15일(155명)까지 확진자 수가 연이틀 1.8배 증가해 또 다른 격상기준 더블링(일일 확진자가 전날의 배가 되는 현상)도 충족해 가고 있다. 또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깜깜이 환자 비율 역시 한때 20%를 넘어선 바 있고 고위험군인 노인 환자 비율도 32%로 높아졌다.
방대본은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66명 늘어 누적 1만7665명이라고 밝혔다. 전날인 23일(397명)에 비해 131명 감소하면서 20일(288명) 이후 나흘 만에 200명대로 떨어졌지만 세 자릿수는 이어갔다.
일일 신규 확진자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집단감염이 본격화한 14일부터 일별로 103명→166명→279명→197명→246명→297명→288명→324명→332명→397명→266명을 기록하며 11일 연속 세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이 기간 발생한 신규 확진자는 총 2895명으로 3000명에 육박한다. 이날 확진자 수가 줄어든 데는 휴일 검사 건수가 줄어든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날 0시 기준 하루 검사 건수는 1만3236건으로, 전날(1만5386건)보다 2000여건 줄었고 평일인 21일(2만40건)과 22일(2만1677건)에 비해서는 크게 적었다.
거리두기 3단계 강화에 필요 55.9%
국민 절반 이상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를 3단계로 격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얼미터가 21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에 대해 '감염 확산 조기 차단을 위해 필요한 조치'라고 응답한 사람이 전체의 55.9% 조사됐다고 밝혔다.
반면 ‘경제 영향 등을 고려해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는 응답은 40.1%였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4%였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3단계 격상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과반을 넘었다. 경기‧인천의 경우 필요하다는 응답이 48.7%였고 신중해야 한다는 응답은 47.6%였다. 부산ㆍ울산ㆍ경남은 필요하다고 답한 응답자가 69.8%로 다른 지역보다 많았다. 대구ㆍ경북에서도 53.6%가 3단계 격상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수도권이 비수도권보다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수도권은 필요한 조치와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는 응답이 각각 50.7%, 45.3%인 반면, 비수도권은 신중해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34.8%였다. 비수도권에서 3단계로 격상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61.2%였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본부장은 23일 브리핑에서 “수도권뿐 아니라 전국 17개 시도에서 모두 환자가 증가하고 있고, 전국적인 대유행 위기를 앞두고 있는 엄중하고 심각한 상황이다”면서 “유행의 양상과 규모, 확대되는 속도를 계속 모니터링하면서 3단계 적용에 대한 필요성을 매일매일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소비자경제신문 오아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