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새 5000만원 오르고 아파트 전세 물량 16% 줄어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3구 상승 이끌어
86.9㎡ 기준 강남구 8억5000만원 최고

‘강남 3구’인 강남·서초·송파구 등이 서울의 전셋값 상승을 주도했다.지 5일 서울 송파구 부동산중개업소 모습 . 사진=연합뉴스
‘강남 3구’인 강남·서초·송파구 등이 서울의 전셋값 상승을 주도했다.지 5일 서울 송파구 부동산중개업소 모습 . 사진=연합뉴스

서울의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2년새 5000만원가량 올라 5억원 돌파가 눈앞에 왔다. 최근 1년 새엔 3500만원 넘게 올랐다. 물량은 크게 줄었다. 임대차 3법 시행 2주 만에 15.7% 물량이 자취를 감췄다. 향후 전셋값이 더 오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감정원은 13일 “서울의 경우 새 임대차보호법 시행과 저금리 기조, 재건축 거주요건 강화 등으로 전세 매물 부족 현상이 지속되면서 역세권과 학군이 양호한 지역과 정비사업 이주 수요가 있는 지역 위주로 전셋값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KB국민은행 부동산 리브온의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4억9922만원으로 2년 전인 2018년 7월(4억5046만원)보다 4876만원 상승했다. 상승률로 보면 10.8%다.

다시 뛰는 전셋값(CG). 현재 서울의 아파트 전셋값은 한국감정원 기준으로 58주 연속 오른 상태이며 상승폭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TV
다시 뛰는 전셋값(CG). 현재 서울의 아파트 전셋값은 한국감정원 기준으로 58주 연속 오른 상태이며 상승폭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TV

지난달 평균 전셋값은 1년 전(4억6354만원)과 비교해 3568만원(7.7%) 올랐다. 최근 1년간 전셋값 상승이 그 이전 1년 동안보다 가팔랐음을 보여준다. 서울의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2016년 3월 4244만원으로 4억원대에 진입한 뒤 2년여 전인 2018년 5월 4억5009만원을 기록하며 4억5000만원을 넘어섰다. 지난달 말 임대차 3법 통과 이후 전셋값 급등세가 이어지는 것을 고려하면 이달(8월) 5억원 돌파가 확실시된다.

7월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전셋값은 1895만원으로 전용면적 86.95㎡로 계산하면 4억9923만원이 돼 평균 전셋값과 같아진다. 전용 86.95㎡ 아파트를 기준으로 2년 사이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서초구다. 2년 새 1억1421만원(17.3%)이 뛰었다. 강남구가 1억253만원(13.7%) 올라 서초구와 함께 1억원 이상 상승했고 이어 송파구(5757만원·11.1%)가 3위에 올라 이른바 ‘강남3구’가 서울의 전셋값 상승을 이끌었다. 또한 성동구(5281만원·10.5%)와 광진구(5139만원·10.2%)가 5000만원 이상 올랐고 양천구(4537만원·9.7%)와 성북구(4395만원·10.9%)가 4000만원 넘게 상승했다. 강서구(3551만원·8.9%), 용산구(3529만원·6.8%), 마포구(3488만원·6.7%), 영등포구(3443만원·7.8%) 등의 순으로 전셋값 상승액이 컸다.

2년 동안 전셋값이 가장 적게 오른 곳은 도봉구로 86.95㎡ 아파트 기준 1348만원(4.4%) 상승하는 데 그쳤다. 이어 은평구(1696만원·5.2%)와 구로구(1894만원·5.1%)가 2000만원 미만으로 올랐다.

지난달 기준 서울에서 평균 전셋값이 가장 비싼 지역은 강남구로 전용 86.95㎡짜리 전세 아파트를 얻는데 평균 8억4936만원이 필요했다. 서초구는 7억7503만원으로 강남구와 함께 서울의 다른 지역과는 격차가 큰 1∼2위 상위권을 형성했다. 같은 조건의 전세 아파트를 구하려면 송파구에서는 5억7843만원이 필요했고 중구는 5억6901만원, 용산구 5억6040만원, 광진구 5억5714만원, 성동구 5억5599만원, 마포구 5억5352만원, 양천구 5억1128만원 등이 있어야 했다.

아파트 전셋값이 가장 저렴한 지역은 도봉구로 같은 면적 아파트를 얻는데 평균 3억1878만원이 들었다. 86.95㎡ 기준 평균 전셋값이 3억5000만원 밑인 지역은 도봉구와 함께 금천구(3억3172만원), 노원구(3억4401만원) 등 3개 구에 불과했다. 서울의 아파트 전셋값은 한국감정원 기준으로 58주 연속 올랐고, 상승폭을 키우고 있다. 

소비자경제신문 오아름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