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실업급여 설명회장. 사진 연합뉴스
서울 한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실업급여 설명회장. 사진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실업자가 확산일로에 들어섰다. 7월 실업급여 지급액이 1조 2,000억원에 달해 또다시 역대 최대 기록을 깼다. 지난 6월 기록한 역대 최대치(1조 1,103억원)를 한 달 만에 갈아치웠다.

고용노동부가 10일 발표한 ‘7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은 1조 1,885억원으로 작년 동월보다 4,296억원(56.6%) 급증했다.

지난달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11만 4,000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1만 3,000명(12.9%) 증가했다. 구직급여 수급자는 73만 1,000명이고 1회당 수혜금액은 143만원에 달했다. 이 또한 역대 최대 규모다.

구직급여 지급액은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한 올해 2월부터 6개월 연속으로 역대 최대 기록을 새로 쓰고 있다. 올해 1∼7월 구직급여 지급액은 모두 6조 7,239억원에 달한다.

6개월째 기록 경신…73만1천명 수급

고용보험 가입자의 월별 증가 폭은 지난해만 해도 50만명대의 고공 행진을 이어갔으나 올해 들어 코로나19 사태로 급격히 줄어 5월에는 15만 5,000명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지난 6월 18만 4,000명으로 반등했고 지난달에는 조금 더 늘었다.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 폭의 반등을 이끈 것은 서비스업이었다. 서비스업은 ‘보건복지’, ‘공공행정’, ‘전문과학기술’ 등에서 증가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교육서비스’, ‘보건복지’ 등에서 증가폭이 확대됐다. 지난달 서비스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953만 3,000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23만 7,000명(2.5%) 증가했다.

정부 일자리 사업이 비대면·야외 작업을 중심으로 속속 재개함에 따라 공공행정의 고용보험 가입자가 4만 3,000명 증가했고 보건복지업의 가입자도 10만 9,000명 늘었다. 그러나 사회적 거리두기로 숙박음식업은 고용보험 가입자가 2,000명 감소했고 도소매업은 6,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7월 고용동향 자료. 고용노동부
7월 고용노동시장 현황. 자료 고용노동부

제조업 고용 악화·청년 고용난도 지속

제조업은 ‘전자통신’, ‘자동차’, ‘금속가공’ 등을 중심으로 지난해 9월부터 둔화 흐름을 지속한 가운데, ‘기타운송장비(조선업)’가 지난달에 이어 감소폭이 확대되면서 전체 감소폭을 확대시켰다.

제조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지난달 351만 5,000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6만 5,000명(1.8%) 감소했다. 제조업의 가입자는 작년 9월 마이너스로 돌아섰고 올해 들어 코로나19 사태로 감소 폭을 확대하고 있다.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에 따른 수출 타격 등으로 제조업 고용 사정은 계속 나빠지고 있다.

주력 산업인 전자통신업과 자동차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지난달 각각 1만3,000명, 1만1,000명 감소했다. 조선업을 포함한 기타 운송장비업의 가입자도 3,000명 줄어 감소 폭이 커졌다.

코로나19 사태로 기업이 채용을 중단하거나 연기함에 따라 청년 고용난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 증감을 연령대별로 보면 청년층인 29세 이하와 30대에서 각각 7만1,000명, 5만6,000명 감소했다. 40대와 50대에서 각각 4만명, 10만2,000명 증가하고 60세 이상에서는 17만명 급증한 것과 대조를 이뤘다.

남성 가입자는 786만 9,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만 8,000명 증가했고 여성 가입자는 603만 9,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3만 7,000명 증가했다.

소비자경제신문 노정명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