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7일 중외제약 본사 및 당진 전산시설 압수수색
​​​​​​​대웅제약에 이어 중외제약까지…‘제약업계 비리’ 잇따라

중외제약 충남 당진 생산단지 건물 전경 . 사진=중외제약
중외제약 충남 당진 생산단지 건물 전경 . 사진=중외제약

중외제약이 의사들에게 400억원이 넘는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압수수색을 당했다. 600~700명에 이르는 의사들에게 4년간 자사 약품을 처방하는 대가로 지속적으로 금품 로비를 해온 것이다. 특히 중외제약이 로비한 병원에 삼성의료원 등 유명 대형병원도 포함돼 있어 충격을 주고 있다.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는 7일 서울 서초동에 있는 중외제약 본사를 압수수색했다. 경찰은 중외제약이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삼성병원과 아산병원 등에서 근무하는 의사 600~700명에게 약 400억원을 리베이트로 제공했다는 내부 제보를 받고 수사를 시작했다. 경찰은 충남 당진에 있는 전산시설에도 수사관을 보내 관련 회계 자료와 각종 장부를 확보했다.

경찰 수사와 관련하여 중외제약 관계자는 “오래 전부터 정상적이고 합법적인 영업환경의 정착을 위해 CP 강화 및 회사 내 각종 제도 개선에 매진해왔다”면서 “현재 일부 언론에 보도된 내용 가운데 오해에서 비롯돼 객관적 사실과 다른 부분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회사의 입장이 향후 경찰 수사과정에서 충분히 소명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경찰청 관계자는 “리베이트 의혹과 관련한 각종 장부 등을 확보했다”면서도 “정확한 리베이트 규모는 자료를 분석해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중외제약이 뒷돈 거래를 한 병원에는 유명 대형 병원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져 충격을 주고 있다. 삼성의료원, 서울아산병원, 서울대병원 등 서울 주요 상급 종합병원뿐 아니라 원자력병원, 경찰병원 등 공공의료기관과 지방 종합병원 의사들이 대거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후문으로만 들렸던 제약업계의 뒷돈 거래와 처방전 유출 등의 비리가 사실로 드러나 제약업계에 큰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경찰은 영업사원을 통해 의사들이 자사의 특정 제품만 처방하도록 리베이트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처방한 금액의 일정 금액을 의사에게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환자에게 처방이 이뤄지면 예상수익의 최소 3%에서 최대 35%에 달하는 금품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사원은 소위 ‘브로커’ 역할을 하면서 대형병원은 물론 소규모 지역병원까지 영역을 확대했다. 일부 의사는 리베이트로 받은 돈으로 해외에서 열리는 학회 및 야유회는 물론 해외여행까지 다녀온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회사 경영진 차원의 금품 로비 지시가 있었는지 등도 집중 수사할 방침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최근 대웅제약의 ‘처방정보 유출‘ 사건에 이어 중외제약의 뒷돈 거래까지 터지면서 제약업계의 고질적인 뇌물 공여, 거액 로비 등이 여전히 만연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관련당국은 철저한 조사는 물론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소비자경제신문 노정명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