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키스탄 친환경 정유공장 현대화 
고품질 친환경 Euro V 제품 생산 
지속적인 친환경 사업 추진

우즈베키스탄 부하라 정유공장 전경. 사진=SK건설
우즈베키스탄 부하라 정유공장 전경. 사진=SK건설

SK건설은 우즈베키스탄 정유공장 현대화 사업 설계를 맡는다. 

SK건설 안재현 사장은 7일 “우즈베키스탄 국영석유가스공사 UNG(Uzbekneftegaz)와 장기적 관점에서 전략적 협력관계를 강화하겠다”면서 “자체 보유한 친환경 기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에 대한 투자를 기반으로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가 조화된 사업모델에 더욱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SK건설은 6일 UNG와 6억 달러(약 7,180억원) 규모인 부하라(Bukhara) 정유공장 현대화 사업의 설계 서비스 계약(Engineering Service Agreement)을 체결했다. 수주금액은 720만 달러(약 86억원)인 부하라 정유공장 설계 서비스 계약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양국 정부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만들어 낸 성과로 평가된다.

SK건설과 UNG는 양국 정부의 지원 속에 지난해 4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 양국 정상회담 사전행사에서 사업 추진을 위한 공동 협약을 체결했었고,  6일 서울에서 열린 양국 경제협력 회담에서 계약이 확정됐다. SK건설과 UNG는 코로나19 사태를 고려해 비대면 서명 방식으로 계약을 체결했다.

우즈베키스탄 최대 기업인 UNG는 1992년 설립된 임직원 12만명 규모의 국영석유가스공사로, 석유 및 가스 관련 사업을 전담하고 있다. 현재 2개의 정유공장(일산 15만 배럴)을 운영 중이고, 국책사업으로 추진 중인 에너지분야 고도화를 위해 향후 정유공장 증설 및 석유화학사업으로의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UNG는 SK가 이뤄낸 압축성장을 벤치마킹하는 데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SK건설은 우즈베키스탄 수도 타슈켄트에서 남서쪽으로 437km 떨어진 부하라 지역에 위치한 일산 5만 배럴 규모의 부하라 정유공장 현대화에 착수하게 된다. SK건설은 정유공장 시설을 개선해 중유를 부가가치가 높은 경질 석유제품으로 전환시키고, 가솔린, 디젤 등의 제품 품질을 새로운 친환경 규격(Euro V)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SK건설은 이번 계약을 통해 기본 설계(FEED)에 본격 돌입하게 된다. 기본 설계 단계에서는 프로젝트에 대한 개략적인 설계는 물론 적용가능한 세부 기술을 확인하고 프로젝트 수행 비용을 산출하는 등 프로젝트 전반에 걸친 중요 내용들을 검토한다.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부하라 정유공장의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사진=SK건설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부하라 정유공장의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사진=SK건설

지난해 10월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2023년부터 일정 규격(Euro Ⅳ) 이하의 석유제품 수입을 금지하도록 대통령령으로 정했다. 이러한 친환경 정책에 맞춰 자국 내 생산 제품 역시 친환경 규격(Euro V)을 갖추기 위해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부하라 정유공장의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SK건설은 발주처와 투자 검토부터 EPC(설계∙조달∙시공), 운영, 유지보수에 이르기까지 프로젝트 전 과정에 대한 축적된 전문 지식과 기술력을 공유하고, 새로운 사업모델을 함께 만들어 가고 있다. SK건설은 새로운 사업모델 개발을 통해 우즈베키스탄의 노후화된 정유∙발전 시설을 현대화해 생산 효율을 높이고, 발주처가 고민 중인 환경오염 문제까지 획기적으로 해결해 나갈 방침이다. 

SK건설은 올해 친환경 사업 비중을 확대하고 친환경 사업모델 및 기술 개발 등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앞서 지난 2월에도 인도네시아 최대 국영 건설회사인 위카(PT Wijaya Karya, ‘WIKA’)와 친환경 아스팔트 사업을 위한 기술서비스 협약 및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친환경 기술개발, 상업화 플랜트 건설을 추진 중이다. SK건설은 이외에도 다양한 영역에서 친환경 사업 확대를 모색중이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세라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