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으로 비대면 자필서명
월 평균 약 11000건 대상
매월 약 2만2천 시간 절약 

한화생명이 새롭게 오픈한 ‘스마트폰을 활용한 언더라이팅(신계약 심사) 보완 프로세스’ 활용 화면
한화생명이 새롭게 오픈한 ‘스마트폰을 활용한 언더라이팅(신계약 심사) 보완 프로세스’ 활용 화면

언택트 시대를 맞아 스마트폰을 활용한 금융 서비스가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한화생명은 신계약 체결과정에서 고객의 자필서명이 추가로 필요한 경우 재무설계사를 직접 만나지 않아도 작성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을 활용한 언더라이팅 보완 프로세스>를 운영한다.

한화생명은 7일 코로나19가 불러온 언택트 트렌드의 변화에 맞춰, 고객 편의성을 제고하고 신속한 보험가입이 이뤄지도록 이번 프로세스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한화생명 김종원 언더라이팅팀장은 “기존에 운영하던 프로세스에 스마트폰을 활용한 비대면 방식을 새롭게 추가함으로써, 고객 선택권 및 편의성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재무설계사 입장에서도 절약된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고객서비스 제고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보험가입은 고객이 청약서를 작성한 후에도 신계약 심사(언더라이팅) 과정에서 다양한 보완 절차가 이뤄진다. 과거 병력, 보험검진결과 등에 따라 청약내용이 변경되거나 고지내용이 부족할 경우, 서류를 추가로 작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기존에는 재무설계사가 변경 내용에 대한 고객의 동의(자필서명)를 받기 위해 고객을 직접 대면해야 했다. 

고객은 본인의 스마트폰 URL 접속을 통해 보완 내용을 확인하고, 본인 인증(휴대폰, 신용카드, 카카오페이 인증)을 거친 후 스마트폰에 직접 자필서명 하면 된다. 해당 서류 이미지는 즉시 담당 심사자에게 전송된다.

신계약 심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보완은 전체 계약 건의 약 15%인 월 평균 약 1만 1000건을 차지한다. 재무설계사가 고객을 대면하여 서류 보완을 하는데 필요한 이동시간 등을 건당 평균 2시간으로 가정하면, 매월 총 2만 2천 시간이 절약되는 셈이다. 

고객은 재무설계사와 일부러 약속을 잡지 않아도 편리하게 서류 작성을 할 수 있다. 본인 인증 절차를 거치기 때문에 불완전판매의 가능성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보험계약 청약~성립까지 소요되는 심사기일도 상당시간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세라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