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가계 모두 지난달 말과 비교해 소폭 올라
업계 “원금·이자 6개월 유예 종료되면 상승할 것”
3월에 소폭 하락했던 가계대출, 기업대출 연체율이 4월 들어 늘어난 것으로 집계돼 여신 건전성 관리에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다만 상승폭이 미미한 수준으로 코로나 19 여파는 아직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은행권에선 정부의 ‘대출금 원금이자 상환 6개월 유예’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시점에 연체가 뛰어오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어 추이가 주목되고 있다.
16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40%로 0.39%였던 지난달과 비교해 0.01%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난해 동기 대비로는 0.08%p 하락한 수치다. 연체율은 은행의 보유자산 중 가장 중요한 대출채권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다. 납부 기일 내 상환되지 않고 연체상태에 있는 대출채권은 은행 수지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꼽힌다.
4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1조4000억 원)은 지난달과 비슷했으나 연체채권 정리 규모(1조1000억 원)가 전월보다 8000억 원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4월 말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은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 개인사업자, 가계 모두에서 지난달 말과 비교해 상승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0.50%로 지난달 말(0.49%)과 비교해서 0.01%p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중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0.22%로 전달, 지난해 대비 각각 0.14%p, 0.51%p 떨어졌지만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57%로 지난달 말에 비해 0.04%p 올랐다. 개인사업자대출(0.33%)과 중소법인(0.69%) 대출 역시 모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29%로 지난달 말과 비교해 0.02%p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주택담보대출은 0.20%로 지난달 말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은 0.48%로 지난달 말 0.44%와 비교해 0.05%p 뛰었다.
금융감독원 측은 4월 은행 연체율 상승에 대해 아직 미미한 수준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여파와는 유의미한 상관성을 도출해 내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다만 코로나 19사태가 터지면서 이 기간 은행 대출이 대폭 늘어난 것에 따라 연체가 이르면 하반기부터 시작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점쳐진다. 특히 올 상반기부터 전 금융사가 제공하기 시작한 ‘대출금 원금이자 상환 6개월 유예’가 종료되는 시점에는 연체율이 다소 오를 것이라는 게 업계에서의 판단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원금이나 이자가 6개월간 유예되는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연체율이)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도 정부 지원 정책에 따라 연체율 상승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지는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다.
이 관계자는 “생각보다 코로나 여파는 크지 않다”며 “정부에서 재난지원금을 지원했고 소상공인이나 중소기업 대상으로도 혜택이 제공됐으며 어제(지난 15일)는 자동차 산업에 대해서도 (정부가) 지원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지난 15일 당국은 신용도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자동차 중소·중견 협력업체를 위해 3000억 원 규모 특별보증을 시행하는 등 금융지원 방안을 본격 논의했다. 이어 “(이처럼) 경제 유동성을 늘리면서 우려했던 만큼 부실이나 리스크가 많이 발생하지 않았다”며 다만 “코로나 여파 작용으로 (은헹 대출이 늘어남에 따라 연체율이) 어느 정도는 상승할 것으로 예측한다”고 판단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은행 가계대출은 지난 2월 9조 3000억 원, 3월 9조 6000억 원, 4월 4조 9000억 원, 5월 5조 원 증가했다. 이 중 3월 증가액은 지난 2004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에 해당한다. 은행 기업대출 증가액 역시 3월(18조 7000억 원)부터 크게 증가하기 시작해 4월(27조 9000억 원)에는 2009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뛰어올랐다. 5월에도 16조 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슬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