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퍼 장관, 시위 진압 위한 군 동원 방침 ‘반기’
밀리 합참은 ‘성경 이벤트’ 동행에 공개 반성 표시
잇단 악재에 美 트럼프 지지율은 역대 4번째로 낮아
잇단 악재로 미 트럼프 대통령 재선 가도에 비상이 켜졌다. 이른바 ‘흑인 질식사 사건’으로 촉발된 인종차별 반대 시위가 미국 전역서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군 수뇌부까지 연달아 항명에 나서면서 오는 11월 치를 대선이 불투명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현지시각 기준 11일 외신 보도에 따르면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이 시위진압을 위한 군 동원 방침에 반기를 든 데 이어 마크 밀리 합참의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성경 이벤트’에 동행한 것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성을 표시하는 등 군 최고 수뇌부의 항명 파동이 연달아 발생해 파문이 일고 있다.
밀리 합참의장은 현지시각 기준 지난 11일 미 국방부 산하 국방대학 졸업식 축하를 위한 사전 녹화 영상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교회 가는 길에 동행한 사실을 언급하며 “그곳에 가지 말았어야 했다”고 언급했다. 군이 국내 정치에 개입하는 모습으로 비침에 따라 자신이 논란을 불러일으켰다고 인정한 셈이다.
밀리 합참의장은 졸업생들에게 “나라에서 주는 옷을 입은 우리는 시민의 나라에서 비롯한 것이며 반드시 공화국의 본질에 깊이 뿌리를 둔 정치 원칙을 존중해야 한다”며 “제복을 입은 장교로서 그것은 실수였고 진심으로 우리 모두 이번 사태에서 (군의 역할에 대해) 배울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강경 시위 진압 방침을 발표한 직후 세인트존스 교회로 향하면서 인근 라파예트 공원에서 평화적 시위를 하던 이들을 최루탄과 고무탄을 동원해 강제 해산시킨 후 사진 찍는 이벤트를 진행했었다. 당시 밀리 합참의장과 에스퍼 장관도 이 방문에 동행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일로 여론의 지탄을 받는 등 역풍을 맞았으며 함께한 수뇌부 둘 역시 “정치쇼에 이용당했다”며 도마 위에 올랐다.
이날 영상에서 밀리 의장은 이번 시위를 촉발한 흑인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에 대해 “무의미하고 잔인한 살인”이라고 비판하며 트럼프 대통령과 선을 그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공개적으로 거역 의사를 밝혔었던 에스퍼 미국 장관 역시 다시 반기를 들어 보였다. 에스퍼 장관은 시위 진압에 있어 “군 투입은 최후 수단”이라며 미 정부를 비판했고 이에 경질 위기에 놓인 적이 있었다.
현지시각 기준 11일 에스퍼 장관은 인종차별 철폐 시위와 관련한 주방위군의 대응을 놓고 적절했는지 사후 검토를 명령했다.
미 국방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검토 보고서가 “주방위군의 훈련, 무장, 조직, 운용, 배치, 모병을 포함한 사안들을 다룰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앞서 시위 대응에 주방위군 투입을 명령했던 트럼프 대통령에게 반기를 드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현재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 관련 시위 진압에 동원된 주방위군 규모는 2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외에도 전직 국방수장 제임스 매티스 장관 역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공개 비판을 가했고 흑인 합참의장 및 국무장관 타이틀을 가진 콜린 파월 전 장관도 지난 7일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에 반대하며 민주당 대선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
이와 같은 수뇌부의 잇단 항명은 조지 플로이드 사망 관련 시위 대응 논란과 코로나 19 확산 등과 더불어 ‘트럼프 리스크’로 작용돼 오는 11월 3일 치를 대선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현재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위험수위까지 내려간 상태다. 미국의 선거전문매체 ‘538’은 각종 여론조사를 종합한 결과 11일 기준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을 41.0%로 집계했다. 이는 1945년 이후 대통령 가운데 해리 트루먼(39.6%), 지미 카터(38.5%), 조지 H. W. 부시(35.7%) 전 대통령에 이어 4번째로 낮은 수치다. 이중 카터, 부시 대통령은 재선에 실패했고, 트루먼만 성공했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슬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