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경제=박성민 기자]‘항문(肛門)’을 다루는 외과의원들이 내걸고 있는 간판들이다. 현행 의료법상 세부전문과목을 간판에 표기할 수 없게 되자 병.의원들이 ‘항문’이 연상되는 병원명을 짖다보니 웃지못할 트렌드가 생기는 것. 항문은 우리 몸 위장관의 가장 아래쪽에 있는 구멍이지만, 감각이 가장 발달한 곳이기도 하다. 소싯적 짓꿎은 장난이던 ‘똥침’을 맞아본 사람들은 그 고통을 알만하기도 하다. 오죽하면 ‘똥구멍이 찢어지도록 가난하다’고 표현할까.

‘병은 소문을 내야 잘 낫는다’는 속설이 있다. 앓고 있는 병을 주변에 알려 ‘용하다는’ 의사와 병원을 수소문할 수 있다는 까닭에서다. 그런데 항문관련 질환으로 대화가 이어지면 이런 말들이 적용되기 곤란해진다. 더구나 젊은 여성이라면 더더욱 말못할 고민거리로 떠오른다.

그러나 항문은 그 기능면에서 인체의 다른 어느 기관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이 의료진 설명이다.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대장과 항문질환 환자의 수는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러다 보니 잘못된 정보나 용어도 난립하고 있다. 항문질환의 종류와 치료법을 알아본다.

치질= 항문에 흔히 발생하는 치핵, 치열, 치루와 같은 항문질환을 통칭해서 치질이라고 하며, 이 가운데 가장 많이 발생하는 치핵을 통상적으로 치질(Hemorrhoids)이라 부른다. 치핵은 항문의 피부와 점막 밑의 혈관조직이 늘어나고 확장되어 생기는데 혈관을 덮고 있는 피부와 점막이 같이 늘어나서 생긴 덩어리이며 항문 혈관을 확장시키는 자세나 생활태도가 원인이 된다.

화장실에서 오래 앉아 있거나 쪼그리고 앉아 있거나 방바닥에 오래 앉아 있게 되면 항문 혈관 안에 피가 고이게 되어 혈관이 늘어난다. 또한 변비가 있어서 변볼 때 힘을 많이 주게 되면 복압이 올라가 혈관 내에 피가 많이 들어차며 항문혈관이 쉽게 늘어나게 된다.

임산부도 복압의 상승으로 치핵이 발생하거나 기존의 치핵이 악화하는 것이다. 가파른 산에 등산을 하거나, 무거운 것을 들거나, 골프를 치는 것도 비슷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술의 주성분인 알콜은 혈관을 확장시키므로 과음하는 것도 치핵이 생기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항문병의 예방= 항상 항문을 깨끗이 해야 한다. 항문이 지저분하면 가렵거나 불쾌해지며 이로 인해 항문주위염, 항문소양증과 같은 항문병이 생기기 쉽다. 변비는 대변보는 시간을 길게 하며 굳은 변이 되어 항문이 상처를 입기 쉽다. 설사 또는 아직 분해되지 않은 위장관의 소화액도 항문에 손상을 주므로 설사 역시 조기에 치료해야 한다. 배변은 가능한 단시간에 마치도록 해야 하며 변이 마려우면 참지 말고 바로 화장실로 가야한다.

대부분 변은 생리적으로 30초 이내에 나온다. 따라서 이 시간 이상 변기에 앉아 있는 것은 치질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조금 덜 누었다고 생각되면 일단 일어선 후 다음에 또 시도하는 것이 좋다. 화장실에서 신문을 모두 독파하는 습관은 항문 건강에 좋지 않다는 것이 전문의들의 설명이다.

항문질환 치료= 좌욕과, 좌약이나 연고의 사용, 동반하는 변비의 치료 등이 도움이 된다. 목욕도 전신혈액순환을 도와 국소울혈을 제거하므로 치핵 치료에 효과가 있다. 치핵에 사용하는 좌약은 대부분 스테로이드, 국소마취제 및 항생제 등을 복합한 것으로 증상을 줄일 수 있다. 치핵의 탈출이 중하고 통증이 심한 치핵인 경우 수술적인 요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치핵절제술.

2000년대 이후 항문 수술법이 비약적으로 발전, 과거와 같은 통증과 재발의 위험성이 획기적으로 줄었다.
외과수술 전문병원인 안산 ‘한사랑병원’은 3대 항문질환(치핵, 치루, 치열)에 대한 최신의료기술을 도입했다. 점막하치핵절제술은 정상조직은 최대한 살리며 불필요한 치핵만을 제거하게 된다.

상처가 적고 통증이 덜해 수술 후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PPH(원형자동문합기) 수술법은, 탈출성 치핵에 이 기계를 이용해 수술하는 방법으로 수술 후 통증이 없어 직장에 조기복귀가 가능하고 최근 의료보험이 적용돼 비용 면에서 부담이 적은 장점이 있다. 이 밖에 다이오드레이저 수술법과 지온주입법도 선보이며 환자 맞춤형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수술이 필요한 치핵은 30% 정도이고, 나머지는 예방과 약물치료로도 호전된다고 병원 측은 설명하고 있다. 치루의 경우 개방술식과 변형법이 있으며, 누관심 도려뽑기(괄약근 보존술식)와 배액선법 등 다양한 수술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치열 또한 환자 경중에 따라 보존적 치료와 수술치료를 병행하고 있다.

한사랑병원 최동현 외과전문의는 “서구식 음식문화의 도입으로 대장항문질환이 늘고 있기 때문에 육식을 하더라도 채소를 곁들여 먹고 음주와 흡연을 줄여야 한다”면서 “또한 화장실에 오래 앉아있거나 휴식없이 장시간 의자에 앉아있는 자세는 항문에 좋지 않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