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 간염 환자 500여명 분석…근력운동 간섬유화 호전에 도움
[소비자경제신문=곽은영 기자] 만성 B형 간염 환자는 근육량을 늘리는 식이조절과 근력운동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김승업 교수와 내분비내과 이용호 교수 연구팀의 연구결과 만성 B형 간염환자에서 근육량 감소가 간섬유화를 더욱 진행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 코호트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근육량 감소증과 간섬유화가 독립적인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25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B형 간염을 보유한 506명을 대상으로 이중에너지 X선 흡광분석법(DEXA)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24.9%에 해당하는 126명에서 근육량 감소를 확인됐다고 밝혔다. 506명 중 항바이러스 치료를 시작해야 하거나 간경변으로의 진행 위험이 큰 의미 있는 간섬유화는 42.9%였다.
분석 결과 근육량이 감소할 경우 많게는 3배까지 간섬유화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복부비만이 있거나 체질량 지수가 높을 경우, 대사증후군이 있거나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했을 경우 근육량 감소와 간섬유화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간과 운동부족, 대사에 문제가 있는 사람에게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
근육량 감소와 간섬유화의 연관성은 2016년에도 세브란스병원 연구진에 의해 발표된 바 있다. 당시 연구가 비알콜성 간질환에서의 연관성을 다뤘다면 이번 연구는 만성 B형 간염 역시 근육량 감소가 간섬유화를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는 것을 밝혀낸 것.
만성 B형 간염은 백신과 강력한 항바이러스 치료에도 불구 전 세계적으로 의학적 난제로 불린다. 아시아에서만 3억5000만명 이상이 B형 간염 진단을 받았으며 약 100만명이 B형 간염의 합병증인 간경변과 간세포암으로 사망하고 있다.
김승업 교수는 <소비자경제>에 “간섬유화는 만성 B형 간염의 장기적인 예후인자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이라며 “최근 강력한 항바이러스제로 간섬유화의 진행 정도를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지만 여전히 간섬유화 호전 인자 확인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이번 연구는 대사적으로 불안정한 환자들이 식이조절이나 근력운동을 통해 근육량을 증가시키면 간섬유화를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준 첫 연구”라며 “향후 만성 B형 간염환자에서 근육량 감소가 간섬유화 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체적인 관계를 설명할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