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후보자들 인사청문회 정면 돌파 의지

[소비자경제=고동석 기자] 청와대가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에 이어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까지 인사청문회 후보자들의 잇단 위장전입 논란에 대해 고개를 숙였다.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은 26일 국회 인사청문회와 관련해 브리핑을 갖고 “(인사청문회 후보자들이) 국민 눈높이에 미치지 못한 점에 대해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다”고 문재인 대통령을 대신해 사과의 입장을 내놓았다.
이날 임 실장의 브리핑은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를 진행한 야당 의원들이 청문회 경과보고서 채택을 앞두고 문 대통령의 입장 표명을 요구한데 따른 것이다.
임 비서실장은 “국회 청문위원들께도 송구한 마음과 넓은 이해를 구한다. 앞으로 저희는 더 스스로 경계하는 마음으로 널리 좋은 인재를 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5대 비리(병역면탈, 부동산투기, 세금탈루, 위장전입, 논문표절) 관련자는 고위공직에서 원천 배제해 특권 없는 공정한 사회를 만들겠다는 분명한 의지를 표현한 바 있다”고 말했다.
그는 새 정부 인사의 기본원칙과 방향을 제시한 것처럼 그 취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어느 때보다도 높은 도덕적 기준을 갖고 검증하고 있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선거 캠페인과 국정운영이란 현실의 무게가 기계적으로 같을 수 없다는 점을 솔직하게 고백하고 양해를 부탁드린다”면서 “빵 한조각, 닭 한마리에 얽힌 사실이 다 다르듯 같은 사실도 들여다보면 성격이 다 다르다. 저희로선 관련 사실의 심각성, 의도성, 반복성, 그리고 시점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임 실장은 “그래서 후보자가 가지고 있는 자질과 능력이 (배제 원칙) 관련 사실이 주는 사회적 상실감에 비춰 현저히 크다고 판단될 때는 관련 사실 공개와 함께 인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문재인 정부 역시 현실적 제약 안에서 인사를 할 수밖에 없다. 다만 좀 더 상식적이고 좀 더 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지난 21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를 지명하면서 후보자 딸의 위장전입을 미리 알린 데 이어 이낙연 총리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배우자의 위장전입과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까지 위장전입 사실이 드러나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임 실장의 브리핑으로 야당의 반발이 누그러질 지는 미지수다. 그러나 인수위원회를 거치지 않은 문재인 정부가 조속한 시일 내에서 내각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국민적 이해를 구하면서 지금까지 내정한 인사들에 대해선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엿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