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제품 결함 문제 아니다” 입장 견지

갤럭시S8 2대의 디스플레이 비교. 오른쪽이 왼쪽보다 붉은 빛이 강하다. (사진=인터넷 커뮤니티 '뽐뿌' 화면 캡처)

[소비자경제=김현식 기자] 삼성전자의 갤럭시S8에 제기된 ‘붉은 액정’ 논란을 두고 다양한 분석이 제기됐다. 갤S8 개통 첫날인 지난 18일 일부 커뮤니티 사이트에 갤S8 화면이 붉은색이 강한 액정이라는 주장이 잇따라 올라오면서 논란이 일었다.

19일 IT 업계는 갤S8의 액정이 비정상적으로 붉은색이 강한 원인으로 ▲디스플레이 반도체 불량 ▲색 좌표 기준 ‘DCI-P3’ ▲발광 소자 불안정성 ▲새로운 디스플레이 구조라는 네 가지 가능성을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반도체가 불량일 수 있다고 예상했다. 칩의 편차로 인해 제품별로 차이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색을 조절하는 IC(집적회로)나 그래픽을 제어하는 GPU(그래픽 처리 장치)에 미세한 차이가 생겨 일부 제품에서 유난히 붉은색 느낌이 강조됐을 수 있다는 의견이다.

또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부터 사용한 색 좌표 기준인 ‘DCI-P3‘에 주목하는 전문가도 있다.

삼성전자가 이 기준을 사용하면서 전보다 더 다양한 색을 표현할 수 있게 됐지만, 색 좌표 자체가 일그러져 유독 붉은색이 강조된 결과를 낳았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삼성전자의 새로운 발광 소자의 불안정성도 거론된다. 그 동안 모바일 아몰레드는 오히려 파란색이 강하게 나타났다. 삼성전자가 이를 보완하기 위해 붉은 빛을 더 넣는 ‘딥 레드’ 기술을 적용했다고 전해진다.

그 외에 새로운 디스플레이 구조도 지적된다. 1개 픽셀에 적색(R), 녹색(G), 청색(B) 등 3개의 서브 픽셀을 모두 넣는 ‘LCD’와 달리 ‘아몰레드’는 픽셀 당 2개의 서브 픽셀만 넣을 수 있다.

또한 적녹청(RGB) 픽셀 대신 적록(RG)와 청록(BG) 픽셀을 번갈아 배치하는 ‘펜타일’ 구조에 따라 픽셀의 크기나 배치 방식을 조절해야 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제품결함 문제는 아니며, ‘색상최적화’ 설정으로 RGB 값을 수정하면 소비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 색감으로 사용할 수 있어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