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급여 150만원도 안돼…평균 100km이상 이동거리에 자차 활용

[소비자경제=이창환 기자] 전국 통계청 노조가 대전정부청사 앞에서 총파업에 들어갔다. 통계청 노조는 통계청과 7차까지 진행된 임금협상이 결렬되자 전국통계청 소속 노조원들과 함께 총파업 투쟁에 들어갔다.
노조는 파업 출정식에서 “유경준 통계청장이 일방적으로 직무등급제를 도입하려다 무산되자 성과상여금 도입으로 호봉제를 무력화하려는 의도를 노골화하고 있다”며 “통계청은 무기계약직 노동자들을 줄 세우는 차별상여금을 포기하라”고 촉구했다.
지난해 5월 부임한 유경준 통계청장은 ‘직무등급제’를 주장해왔으나 조합원 99.7% 반대로 무산되자 1년에 한번 등급에 따라 성과금 70만원~130만원을 지급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이에 따라 통계청 노사는 지난 10월7일부터 7차례 임금 협상을 진행해 노조는 ‘기본급 3.4% 인상’, ‘호봉 간 승급액 現2만1400원→3만원’, ‘맞춤형복지제도 시행’, ‘통계실무관 처우개선 수당’ 신설 등을 요구했으나 통계청은 ‘기본급 3% 인상’과 ‘성과상여금 도입’을 주장했다.
문제는 무기계약직 처우개선 예산 14억3000만원에 대한 부분으로 노조는 “호봉 간 승급액 증액·복지제도 확대·처우개선 요구”를 한 반면, 사측은 “재원 중 일부를 성과상여금으로 차등해서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합의가 이뤄지지 않자 중앙노동위원회에서 조정 과정을 거쳐 조정안을 제안했지만 통계청이 이를 거부한 상태다.
올해 임금교섭이 이뤄지지 않으면 14억3000만원은 불용처리된다.
통계청 측은 “성과상여금은 열심히 일하는 직원 동기부여 위한 것”이라며 “노조의 우려처럼 성과급 체계 확대나 고용과 연계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반면, 이규희 노조위원장은 “열악한 무기계약직 노동자들을 줄 세우려는 차별상여금 제도를 받아들일 수 없다”라며 “10년을 일해도 연봉 2000만원이 되지 않는 무기계약직 노동자들의 처우 개선하려면 기본급을 인상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통계조사관의 월평균 기본 급여는 약 149만원으로 150만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형편이다. 특히 근로자 대부분이 현장조사원들로 출장이 잦고 하루 평균 이동거리가 최고 100㎞ 이상이지만 모두 개인차량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