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민관합동점검단을 구성해 원인 규명에 나설 것”

[소비자경제=서예원 기자] 최근 부산과 울산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가스 냄새로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자 국민안전처가 관계기관 긴급회의를 열었다.
국민안전처(이하 안전처)가 2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가스 및 악취 발생에 따른 관계기관 안전점검회의’에는 환경부와 산업부, 경찰청, 기상청, 부산시, 울산시, 가스안전공사 등 관계기관과 전문가들이 참석해 원인 규명 방안 등을 논의했다.
회의를 주재한 김희겸 안전처 재난관리실장은 “지진의 전조 증상이 아니냐는 우려에 전문가 등의 해명이 있었지만 지진 전조 증상이 아니라는 것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며 “또한 가스나 유해화학물질이 누출된 것이 아니지만 국민의 안전을 담보할 때까지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위험요인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또 “앞으로 이런 상황이 재발하거나 국민 불안이 커졌을 때 중앙부처 차원에서도 신속하게 대응하고 원인을 명확하게 규명함으로써 국민이 정부를 신뢰하게 하고 불안하지 않도록 하는 게 정부의 역할”이라며 불안 해소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부산에서는 21일 오후 5시 30분께부터 2시간가량 가스 냄새가 난다는 신고가 200건 이상 접수됐고 울산에서는 23일 오후 2시 22분부터 1시간 만에 접수된 가스 냄새 신고가 20건이 넘었다.
부산시에 따르면 21일 발생한 미스터리 가스 냄새는 부산시내에서 동쪽인 해운대구 중동(오후 5시31분)을 거쳐 남구 대연동→동구 초량동→사하구 괴정동→강서구 명지동(오후 7시30분)으로 이어졌다.
이에 따라 부산시가 그동안 관련 기관과 합동 조사를 벌였으나 원인을 찾지 못했다. 도시가스 누출 여부를 점검하고 가스통·유해화학물질을 실은 탱크로리 등 차량이나 선박, 하수종말처리장, 군부대 등을 조사했으나 원인 규명에 실패했다.
울산에서도 지난 23일 석유화학공단과 가까운 남구 일대에서 “가스 냄새가 심하다”, “화학물질 냄새가 난다”는 신고가 22건 접수됐지만 이 역시 원인을 찾지 못했다.
정체불면의 가스 냄새가 퍼지자 각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대형 지진의 전조라는 등 원인에 대한 온갖 억측들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안전처는 기상청이 적극 나서 부산과 울산 지역 주민이 가장 불안하게 생각하는 지진 관련성에 대한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국민안전처 한 관계자는 “현 상황은 안전처가 주관해 대응할 상황은 아니다”라면서도 “관계기관 합동점검단을 구성하면 적극적으로 참가하겠다”고 말했다.
서예원 기자 npce@dailycnc.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