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경제=이남경 기자] 국내 첫 메르스 사망자가 발생한 가운데 경기지역에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관련한 괴소문이 SNS로 확산돼 국민들이 혼란에 빠졌다. 보건 당국은 여전히 발병 지역과 관련 병원에 대해 ‘비공개’ 원칙을 고수하고 있어 파장이 예상된다.

경기도 고양시에 거주하는 신 모씨는 지난 29일 지인으로부터 메르스 관련 SNS메시지를 전달 받았다. 해당 메시지에는 ‘평택 수원의 메리스 전염 치사율이 40%에 이르며 접촉만으로도 감염된다’, ‘해외에서 한국은 긴급재단 1호 상황이라고 실시간 보도됨’ 등의 자극적인 정보들이 담겨 있었다.

신씨는 “큰 병원에는 아예 발길을 끊고 있다. 밖에 돌아다니기가 꺼려질 지경”이라며 불안해했다.

▲ SNS를 타고 유포되고 있는 메르스 관련 정보 중 하나.

서울 금천구에 거주하는 황모 씨도 2일 메르스 발병지역 및 접촉병원에 관한 메시지를 받았다. 황씨는 “사실인지 루머인지 알지 못해 더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이러한 메르스 관련 유언비어에 대해 엄중 단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전염병 위험 지역에 대한 대중들의 알권리를 무조건 무시하는 처사라는 비판도 있다.

메르스가 환자 25명에 3차 감염자까지 나온 만큼 지역과 병원을 투명하게 공개해 확산 방지 및 감염 예방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의견이다.

하지만 보건 당국은 여전히 발병 지역 및 관련 병원에 대해 비공개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권준욱 중앙 메르스중앙대책본부 기획총괄반장은 지난달 31일 브리핑에서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전염병 확산 시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지역이나 병원명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경우가 많지 않다”고 설명했다.

또한 지역과 병원을 밝힐 시 주민들의 공포와 걱정을 키울 수 있고 해당병원이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병원들이 경영피해로 인해 환자의 입원 및 내원 사실을 아예 숨길 수 있다는 우려도 이유 중 하나다.

이에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은 1일 성명에서 지역과 병원명을 공개하고 메르스로 피해를 본 의료기관에는 국가 보상을 해주는 정책을 제안하기도 했다.

한국인 메르스 확진자가 건너갔던 홍콩이 한국 정부에 ‘메르스 환자가 다녔던 한국 병원 이름을 대중에 공개해야 한다’며 명단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져 보건 당국의 고심은 한층 깊어질 전망이다.

한편 첫 사망자가 발생한 경기 화성의 모 병원 인근 학교들은 일제히 임시 휴교에 들어갈 예정이다.

2일 교육청 관계자에 따르면 메르스 환자가 숨진 병원 주변 초등학교 1곳이 2일 임시휴교한데 이어 주변 학교 20곳도 3~5일까지 임시휴교에 동참하기로 했다.
 

이남경 기자 npce@dailycnc.com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