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성 당뇨병 환자가 최근 9년 동안 급격히 증가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2년부터 2012년까지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출산 여성 중 임신 중에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료를 받은 여성은 2003년 1만9,799명에서 2012년 11만5,646명으로 5.8배 늘었으며, 이는 2003년 4.8%에서 2012년 25.4%로 증가한 수치로 드러났다.

이어 2004년에 첫아이를 출산한 여성 중 건강검진을 받은 5만3,331명을 대상으로 산전 출산 후 8년 이내 당뇨병 발생여부를 분석한 결과, 임신 전 비만 여성(체질량지수(BMI) 25이상)이 첫 임신에서 임신성 당뇨병이 발생한 경우, 출산 후 8년 이내에 23.8%에서 당뇨병으로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신 전 비만 여성이 임신성 당뇨병이 있는 경우, 정상체중 여성보다 출산 후 당뇨병 발생 위험(HR)은 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전 비만인 여성의 경우, 임신성 당뇨병이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출산 후 당뇨병으로 진행될 위험(HR)은 2.8배였으며, 이는 정상체중의 여성이 임신성 당뇨병 진료를 받은 경우 출산 후 당뇨병이 발생할 위험(HR 2.3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비만이 출산 후 당뇨병 발생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고려대 구로병원 조금준 교수는 "이는 산전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보여 주는 결과로써, 임신 전 비만한 여성은 임신 시 임신성 당뇨병 위험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출산 후 당뇨병 발생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산전 비만관리가 필요하다"며 "특히, 지역사회 산부인과 병(의)원에서 적극적인 산전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건강보험공단 유승현 건강상담센터장은 "공단은 임신성 당뇨병 관리를 위하여 대한당뇨병학회와 공동으로 의학, 간호, 영양 등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운영하여 콘텐츠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으며, 우선적으로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임신성 당뇨병 임신부를 대상으로 '임신성 당뇨병 통합관리프로그램'을 10월말부터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보건복지부 양찬희 출산정책과장은 "우리나라의 저출산 및 고령 임산부가 증가하는 현실에서 건강한 산모와 출생아를 위하여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비만관리 등 적극적인 산전관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고유진 기자 npce@dailycnc.com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