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대비 2.6% 증가…전기차 판매량 가파르게 올라

[사진=수입차협회]
[사진=수입차협회]

지난해 자동차업계에 닥친 각종 악재에도 국내에서 판매된 수입차가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이하 KAIDA)가 4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테슬라를 제외한 수입차 신규 등록 대수가 28만 3435대로 전년(27만6천146대) 대비 2.6% 증가했다.

판매량 1위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로, 지난해와 비교해 6.3% 증가한 8만 976대를 판매했다. 그 다음으로는 BMW코리아가 7만 8545대로 2위를 차지했고, 아우디(2만 1402대), 폭스바겐(1만 5791대), 볼보(1만 4431대), 미니(1만 1213대)순이었다. 

차량 모델 중에서는 벤츠 E-클래스가 2만 8318대로 가장 많은 판매량을 올렸다. 그 다음으로는 BMW 5시리즈가 2만 1166대, 벤츠 S-클래스가 1만 3206대, 아우디 A6는 8229대 순이었다.

플랫폼별로는 여전히 내연기관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가솔린차는 13만 9821대로 전체의 절반 정도인 49.3%를 차지했으며, 디젤차는 3만 391대로 11.7%를 차지했다. 여기에 하이브리드 차는 7만 4207대로 전체의 26.2%,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는 1만 3114대로 4.6%를 차지했다.

순수 전기차는 2만 3202대로 전체의 8.2%에 불과하지만, 판매량 증가폭은 266.0%로 매우 가파르게 올랐다. 이는 가솔린차의 판매량 증가가 1.6%인 것과는 대조적이다. 역으로 디젤차는 경유 가격 상승과 요소수 부족 문제가 조명되면서 판매량이 15.3%나 감소했다. 

국가별 브랜드로 보자면 유럽이 24만 1449대로 전체의 85.2%를 차지했으며 지난해와 비교해 7.4%나 판매량이 증가했다. 그러나 반대로 미국(2만 4995대·8.8%)과 일본(1만 6991대·6.0%) 브랜드는 각각 18.7%, 17.3% 정도 판매량이 감소했다.

정윤영 수입차협회 부회장은 “반도체 수급난에도 일부 브랜드의 안정적인 물량 확보와 다양한 신차 출시로 판매량이 늘었다”고 평가했다. 

소비자경제신문 권찬욱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