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생산의 약 110%인 8만여 톤 규모 생산
김천공장 2호기 증설, 문막공장 1호기 생산능력 강화
단위 생산당 고정 생산 비용 감소…시장 부담 감소세

KCC 김천 공장. KCC는 그라스울 생산 확대를 위해 최근 경북 김천과 강원도 문막에 있는 그라스울 공장을 증설하고 있다. [사진=KCC]
KCC 김천 공장. KCC는 그라스울 생산 확대를 위해 최근 경북 김천과 강원도 문막에 있는 그라스울 공장을 증설하고 있다. [사진=KCC]

지난 몇 년 간 수차례 발생한 물류창고 화재 사건으로 지난해 건축법이 개정됐다. 내·외부 마감재료와 단열재·복합자재 등의 화재 안전성 확보를 목적으로 특히 샌드위치 패널과 복합 외벽 마감재료의 성능을 강화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KCC는 이번 건축법 개정으로 인한 시장 개편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그라스울 생산능력을 대폭 강화한다고 19일 밝혔다.

KCC는 최근 경북 김천과 강원도 문막에 있는 그라스울 공장을 증설하고 있다. 김천 공장에는 기존 1호기에 더해 2호기를 새로 증설하고, 문막 공장은 기존 1호기의 생산능력을 강화한다. 각각 내년 10월과 내년 3월 완공해 그라스울 생산에 돌입할 방침이다. 증설 투자로 약 8만톤 가량 생산량이 확대되어 기존 생산량의 약 110%에 해당하는 수치다.

기존 샌드위치 패널에는 스티로폼(EPS)이나 우레탄 등 유기단열재가 많이 사용됐는데 물류창고 화재 사건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우수한 화재 안전성을 지닌 무기단열재로의 시장 개편이 예상된다. 실제로 유럽에서는 대표적인 무기단열재인 그라스울이 전체 단열재 시장의 80%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샌드위치 패널 시장에서 유기단열재가 80% 비중을 차지하는 것과는 대조적인 셈이다. KCC의 그라스울 생산능력 강화는 개정 건축법이 시행됨에 따른 무기단열재 수요 증가에 선제적 대응이라 할 수 있다.

신규 호기 증설 및 기존 호기의 생산능력 확대로 생산량이 증가하면 단위 생산당 고정 생산 비용이 감소한다. 이를 통한 가격 경쟁력 보완으로 글로벌 에너지·원자재 대란과 인플레이션 국면, 소재 자체의 가격적 부담을 일정 부분 완화해 시장의 충격도 덜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세라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