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지주, 올해 안으로 예금보험공사 지분 매각되면 가능성 높아져
국민연금 최대 주주로 부상…과점주주 비중 높아 공적 개입 낮아질수도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지난 9월 10일 서울 중구 전국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위원장과 금융지주 회장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지난 9월 10일 서울 중구 전국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위원장과 금융지주 회장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근 금융권에서는 우리금융지주의 민영화가 사실상 임박했다는 소식이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지주의 최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가 보유 중인 15.25%의 지분을 매각할 예정인 가운데, 이번 매각으로 예보가 최대주주 지위와 비상임이사 추천권을 상실하면 우리금융지주는 민영화에 한발짝 더 다가가게 된다.

금융위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의결한 ‘우리금융지주 잔여지분 매각 세부절차 진행방안’에 따라 입찰대상 적격자를 선정해 이날부터 매수자 실사를 진행한다. 이어 11월 18일 입찰이 마감되고 22일 낙찰자가 선정되는 등 연내 매각 절차가 마무리된다.

금융위가 지난달 9일부터 약 한 달간 우리금융 잔여 지분 매각 투자의향서(LOI)를 접수한 결과 금융사, 사모펀드, 해외투자자 등 총 18개 투자자들이 LOI를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 따르면 LOI를 제출한 투자 업체에는 KT, 호반건설, 우리사주조합, 이베스트증권, KTB자산운용, PEF 글랜우드PE, 유진PE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우리금융의 주요 주주는 예보(15.25%), 국민연금(9.80%), 우리사주조합(8.75%), IMM PE(5.62%), 푸본생명(4%), 한국투자증권(3.77%), 키움증권(3.76%), 한화생명(3.18%), 포스코(2.81%) 등이 과점주주 체제로 구성돼 있다.

매각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쪼개져 이뤄질 경우 국민연금이 우리금융지주의 최대주주가 될 가능성이 크다. 이 때문에 우리금융지주가 KT나 포스코처럼 정부의 공적 통제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또다른 한편에서는 우리금융지주는 정부가 아닌 금융당국의 규제를 받고 있는 금융사이고, 소액주주 비중이 높은 KT·포스코와 달리 과점주주 비중이 높은 지배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점 등을 들어 공적 규제 가능성을 낮게 점치기도 한다. 

우리금융은 4% 내외 지분을 보유한 과점주주 6곳이 23.1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구조로 이뤄져 있다. 

현재 우리금융 내 사외이사는 한화생명이 추천한 노성태 사외이사가 의장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정찬형 사외이사(한국투자증권 추천), 박상용 사외이사(키움증권 추천), 장동우 사외이사(IMM프라이빗에쿼티 추천)로 구성돼 있다.

이번 매각 과정에서 4% 이상을 차지하는 과점주주가 생길 경우 사외이사의 수도 그만큼 늘어나게 된다. 사외이사가 다수를 차지하는 구조가 되면 국민연금의 공적 개입 가능성은 힘을 잃게 된다.

한편, 이번 매각을 통해 그간 수차례 예보 지분 매각에 실패하면서 민영화에 어려움을 겪어온 우리금융지주가 올해 안에 거래를 완료할 수 있을 지 귀추가 주목된다. 

소비자경제신문 박정민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