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2호선 51개 역사에 이어 8호선 ‘스마트 역사’로 변신
3D맵·지능형CCTV로 승객 움직임 실시간 파악
mmWave레이더로 쓰러진 환자 탐지, 디지털트윈이 신속 대응지원

전사회적으로 일고 있는 스마트화 트렌드가 대중교통에도 적용될 전망이다. LG유플러스와 하이트론씨스템즈 컨소시엄은 내년 상반기까지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8호선 18개 역사에 스마트스테이션을 구축하는 사업을 수주했다고 21일 밝혔다.

스마트스테이션이란 지하철 역사에서 운용하던 모니터링 시스템을 지능형CCTV와 3D맵을 통해 고도화하는 사업이다. 역무원이 역사 내 승객의 움직임과 사고 현황을 신속하게 파악·대응할 수 있어 운영의 효율성을 대폭 상승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시민들에게 안전한 도시철도와 편리한 교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택진 LG유플러스 기업부문장(부사장)은 “LG유플러스는 앞서 1~4호선 스마트스테이션 구축사업의 기술평가 1위에 오르며 기술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며 “이번 8호선 사업도 성공적으로 완수함으로써 지하철·철도 스마트스테이션 분야에서 경쟁력을 더욱 공고히 하고 Global No.1 지하철을 만드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와 하이트론씨스템즈 컨소시엄은 내년 상반기까지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8호선 18개 역사에 스마트스테이션을 구축하게 된다.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와 하이트론씨스템즈 컨소시엄은 내년 상반기까지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8호선 18개 역사에 스마트스테이션을 구축하게 된다.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컨소시엄은 ▲8호선 18개 역사를 가상공간에 재현하는 디지털트윈 ▲역사 내 사각지대를 해소한 지능형 CCTV ▲역사 내에서 쓰러진 승객을 탐지할 수 있는 입체형 밀리미터웨이브(mmWave) 레이더 등을 통해 스마트스테이션을 만들어갈 계획이다.

스마트스테이션에서는 디지털트윈을 통해 역사 내에서 쓰러진 승객이 발생할 경우 응급조치와 신속한 이송을 할 수 있는 최적의 경로를 제안하여 ‘골든타임’을 확보한다. 또한 지능형CCTV가 딥러닝 기반의 영상 분석을 통해 에스컬레이터 넘어짐, 교통약자(휠체어·시각장애인 등) 서비스, 코로나에 대비한 마스크 미착용자 검색 등 다양한 정보를 활용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승객들의 부정승차 탐지 및 빅데이터 시스템과 연계해 다양한 정책 수립을 지원한다.

이 밖에도 LG유플러스는 통합 플랫폼, 유선 네트워크 환경 구축 및 LTE-R 연동, 1~4호선 시스템(IP-MPLS망) 연계 등 세부사업을 진행하며 서울지하철 8호선 18개 역사를 업그레이드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LG유플러스 컨소시엄은 2019년에 지하철 2호선에 성공적인 구축완료에 이어 이번 8호선에서도 안전성·효율성을 모두 향상시키는 스마트스테이션을 만들어갈 계획이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세라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