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배달 맛집이 있다니 부럽다 한남동!’, ‘피, 땀, 눈물 흘린 당신에게 든든아침 다이너마이트’, ‘책은 사람을 만들고 비비고는 아침을 만든다’
최근 유통업계가 소비자에게 말을 건네는 광고를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불특정 다수가 아닌 특정 인물을 지정해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핀스킨 마케팅’이라는 것이다.
핀스킨 마케팅(pinskin marketing)은 핀셋으로 집듯 상품 특성에 맞는 소비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핀셋 마케팅’과 직접 보고 느끼고 체험하게 하는 ‘스킨십 마케팅’이 합쳐진 용어다. 버스 정류장, 지하철 스크린도어 등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옥외매체를 통해 개인화된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광고 피로도를 낮추고 효율적인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다.
‘이런 배달 맛집이 있다니, 부럽다 OO동’ 캠페인
배달 애플리케이션 ‘배달의 민족’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부럽다 OO동’ 캠페인을 전개해 왔다. 이름난 동네 배달 맛집을 소개하는 방식으로 특정 지역의 거주민을 청자로 지정해 동네 맛집에 대해 부러움을 표현했다.
최근에는 외식업 종사자들을 위한 응원의 메시지를 담은 옥외 광고가 인기다. 식당의 단골손님이 사장님께 보내는 감사의 마음을 광고로 표현한 것이다. 미아사거리역 인근 버스정류장에는 ‘성하순대국 사장님께’라는 식당 광고가 걸렸다. 사진과 함께 ‘꼭 한 번 응원의 인사를 전하고 싶었다’, ‘힘든 시기를 이겨내고 보란 듯이 오래오래 함께 장사하며 가족처럼 지내자’는 편지 글귀가 눈에 띈다
피, 땀, 눈물 ‘비비고 죽으로 든든한 아침을’
‘책은 사람을 만들고 비비고는 아침을 만든다, 비비고 죽으로 든든한 아침’. CJ제일제당 비비고가 든든하게 하루를 시작할 수 있는 아침 대용식으로 비비고 죽을 알리는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비비고는 평소 아침을 거르거나 간단하게 먹는 습관을 지닌 소비자들을 ‘콕’ 지정해 말을 건네는 문구로 인기를 모으고 있다.
그중 직장인 밀집 지역인 강남대로와 한강대로 인근 버스 정류장 광고가 이목을 끈다. △책은 사람을 만들고 비비고는 아침을 만든다(교보) △위대한 갤럭시를 만드는 일도 시작은 든든한 아침부터(삼성전자) △피, 땀, 눈물 흘린 당신에게 든든 아침 다이너마이트(HIVE) △잊지 말고 꼭 아침 식사 헤라(아모레퍼시픽) 등 기업별 특색 있는 문구가 적힌 광고가 걸려 있다.
이외에도 직장인들의 주요 통근 지하철역 명을 활용한 △신사역 아침 꼬르륵 소리, 누구예요?, 특정 인물의 이름을 빌린 △정훈씨, 체력이 아니라 아침이 부족한 거예요 등 이색적인 메시지와 함께 비비고 죽으로 든든한 아침을 챙길 수 있다는 점을 재치 있고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당근마켓 ‘OO동도 당근이세요?’ 방가방가
지역 생활 커뮤니티 ‘당근마켓’은 동네 생활을 위한 앱이라는 플랫폼 특성에 맞게 지역 맞춤형 광고를 선보였다. 서비스를 상징하는 주황색 배경에 캐릭터를 배치하고 실제 중고 거래 이용자들의 인사말로 잘 알려진 문구를 활용했다.
‘한남동도 당근이세요?’, ’신사동도 당근이세요?’처럼 실제 광고가 실리는 구역의 이름을 사용해 소비자에게 친근하게 인사를 건넨다. 당근마켓은 서울 전역과 수도권, 세종시까지 총 183개의 동, 약 450개의 소재로 광고를 진행하고 있다.
소비자경제신문 노정명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