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장기화로 보복소비 증가…스마트폰·가전이 주역
미국 오스틴 가동 중단된 반도체…2분기부터 회복 예상
삼성전자 분기별 영업이익이 10조원을 육박했다.
삼성전자가 연결기준으로 매출 65조원, 영업이익 9.3조원을 기록한 2021년 1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올해 1분기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9조원대의 영업이익을 내는 데에는 스마트폰(모바일)과 TV 등 가전제품이 주역할을 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7.48%, 영업이익은 44.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보복 소비가 늘어난 영향으로 기대보다 부진했던 반도체 실적을 세트 부문이 상쇄한 결과다.
지난해 상반기는 코로나19 영향으로 반도체 부문 실적이 두드러지고 스마트폰과 가전 등 세트 부문 실적이 악화된 ‘반도체 효과’가 특징적이었다. 그와 반대로 올해 1분기에는 미국 텍사스주 한파에 따른 오스틴 반도체 공장 가동 중단의 여파로 반도체 부문 실적이 저조하고 스마트폰과 가전은 코로나19 장기화 특수를 이어가며 호실적을 냈다.
잠정 실적 발표여서 삼성전자는 사업 부문별 실적을 공개하지 않았으나 증권업계는 반도체 부문(DS) 영업이익은 약 3조 6000억원, 스마트폰 부문(IM)은 4조 6000억원 안팎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스마트폰 부문의 경우 1월에 조기 출시한 플래그십 모델인 갤럭시 S21, 보급형 갤럭시 A시리즈 판매가 양호했다. 갤럭시 S21은 출시 57일 만에 판매량 100만대를 돌파하는 호실적을 냈다.
소비자 가전(CE) 부문 역시 맞춤형 가전 ‘비스포크’의 인기로 1분기 영업이익이 약 1조원으로 추정된다. 프리미엄 라인업을 중심으로 삼성 TV 판매량이 작년보다 15%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부문은 메모리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1분기에 텍사스 공장 가동 중단 악재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약 3조 8000억원일 것으로 추정된다.
유진투자증권 이승우 애널리스트는 “텍사스 정전에 따른 영업차질, D램 1z 나노 공정과 중국 시안 낸드플래시 2공장 가동 개시에 따른 초기 비용 부담 증가가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디스플레이(DP) 부문인 삼성디스플레이는 영업이익 4000억∼6000억원으로 큰 폭으로 개선되지는 않고 이전 전망과 비슷한 규모를 유지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번 1분기를 저점으로 찍은 반도체 부문은 오스틴 공장 가동 중단 악재를 털고 반도체 가격 강세가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반영될 전망이다. 정전 사고에 대한 텍사스 주정부의 손실 보상이 2분기 이익에 반영될 가능성도 있다. 반면 1분기 주역이었던 스마트폰은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인한 생산 차질과 원가·마케팅 비용 상승 등 여파로 ‘상고하저’ 실적이 예측된다.
증권업계는 2분기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은 5조원대로 회복하고 IM 부문은 3조원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간 실적 향상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으나 이재용 부회장이 수감 상태인 데다 미중 패권다툼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진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세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