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억명 인구 대국 공략 현지공장 완공·제품 생산 돌입
중국, 베트남, 러시아에 이은 10번째 해외 생산기지
초코파이, 비스킷, 스낵 판매…7조 인도 제과시장 진출
​​​​​​​중국, 러시아 등 글로벌시장서 쌓아온 노하우로 맹공략

오리온 인도공장
오리온 인도공장

오리온의 초코파이가 13억 인도인 점령에 나섰다. 러시아, 중국, 동남아인을 사로잡은 초코파이를 선두로 무한한 잠재성을 지닌 인도 신시장을 개척, 또 하나의 K-푸드 신화를 만들어간다는 전략이다.

오리온 홍보팀은 23일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이번 인도 공장 완공을 계기로 연 13억에 달하는 인구와 광활한 영토로 무한한 잠재성을 지닌 인도 신시장 개척에 가속 폐달을 밟는다”고 밝혔다. 중국과 베트남, 러시아에서 초코파이 시장을 넓혀온 오리온은 해외시장에서 축적해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글로벌 유수의 제과 기업들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는 인도 시장에서도 또 하나의 K-푸드 신화를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오리온은 22일 인도 ‘라자스탄’주에 위치한 오리온 인도공장에서 준공식을 개최, 제품 생산에 돌입했다. 이날 준공식에는 오리온 인도 법인 대표 사우랍 세이스와 생산관리 업체인 만 벤처스의 숙비르 씽 만 회장 등이 참석했다. 인도 현지에 생산공장을 마련한 오리온은 17조원대 제과 시장을 보유한 세계 2위 인구 대국인 인도 시장에 진출했다. 

인도 오리온 공장은 중국(5개), 베트남(2개), 러시아(2개)에 이은 10번째 해외 생산 기지다. 오리온은 기존 베트남에서 수입 공급하던 인도 유통 물량을 인도공장에서 직접 조달함으로써 물류 비용 절감은 물론 신선한 상품 판매 및 현지 소비자 입맛에 맞는 최적의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초기에는 세계적인 제품력과 인지도를 바탕으로 강한 브랜드 파워를 갖춘 초코파이를 집중 생산하고 향후 비스킷, 스낵 등 제품군을 확대해 현지 시장 점유율을 높여갈 방침이다. 오리온은 소득 수준이 높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대형마트, 이커머스 판매를 강화해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중국과 베트남에서 성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소규모 전통 채널도 공략한다.

오리온은 인도 시장의 특성을 고려해 현지 제조업체인 만 벤처스와 생산관리 계약을 체결하고 2019년 공장 착공에 들어갔다. 최상의 제품력을 유지하기 위해 오리온이 설립한 공장 및 시설에서 생산은 만 벤처스가 맡는 방식을 택했다.

이후 생산은 만 벤처스가 전담하고 오리온은 제품 관리는 물론 영업·마케팅 등 생산을 제외한 전 과정을 관할하게 된다. 인도가 다양한 민족과 문화, 넒은 영토를 가진 시장인 만큼 현지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만족시키기 위해 대부분의 직원은 현지인으로 채용할 예정이다.

오리온은 1997년 중국 베이징 근처의 랑팡 지역에 첫 생산시설을 설립한 데 이어 상하이, 광저우, 셴양뿐 아니라 베트남 호치민, 하노이 및 러시아 뜨베리, 노보시비리스크 지역 등지에 연달아 총 9개의 현지 생산시설을 가동하고 있다.

작년 한 해 오리온의 해외 매출 규모는 오리온 전체 매출의 65% 이상을 차지, 글로벌 시장에서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소비자경제신문 노정명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