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고기 가정소비 12% 증가…가격도 계속 ‘고공행진’
​​​​​​​한우도 소비량 ‘쑥’…“코로나 장기화 속 인기 지속할듯”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진열대. 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진열대.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장기화로 집안에서 지내는 시간이 늘면서 돼지고기와 한우의 가정 내 소비가 큰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7일 농업관측본부의 축산관측 12월호에 따르면, 지난 7월10일∼10월11일 3개월 간 우리나라의 가구당 평균 돼지고기 구매량은 5.99㎏으로 지난해 5.37㎏보다 11.5% 증가했다.

이중 국산 소비량은 3.40㎏에서 3.96㎏으로 16.5%, 수입산 구매량은 1.97㎏에서 2.03㎏으로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내 돼지고기가 소비가 늘어난 것과 달리 외식 수요는 크게 줄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7∼9월 한식 음식점 생산지수는 지난해보다 19.2% 감소했고, 기관 구내식당업 생산지수 역시 19.6% 하락했다.

가정 내 소비가 계속 늘면서 돼지고기 가격은 강세를 유지했다. 지난달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당 4222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0%, 평년보다 3.0% 상승했다. 이 기간 국내산 삼겹살 소매가격은 100g당 2133원으로 지난해보다 27.0%, 평년보다 14.1% 올랐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삼겹살 소매가격은 이달 들어서도 ㎏당 지난 1일 2만496원, 2일 2만476원, 3일 2만1651원 등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한돈업계는 공급량이 충분해 올해 하반기가 되면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으나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가정 내 소비가 꾸준히 이뤄지면서 가격이 강세를 보이는 상황이다.

한돈자조금위원회 관계자는 “돼지고기 소비량이 늘어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삼겹살 등 인기 부분육에 대한 소비는 늘고 뒷다리살 같은 비인기 부분육 소비는 줄어 수급 불균형이 심각하다”면서 “또 산지가격에 비해 도소매 가격이 크게 오르지 않아 수익도 크게 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코로나 장기화가 돼지고기 소비의 증가를 가져오긴 했지만 가정 내 소비가 학교급식과 식당 수요의 폭락을 끌어올리기엔 역부족”이라고 덧붙였다.

한우 가격 역시 가정 내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한 이후 가정 내 한우고기 평균 구매량 증감률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3월 6.1%, 4월 6.2%, 5월 7.2%, 6월 4.6%, 7월 9.8%, 8월 3.1%, 9월 -8.3%, 10월 15.7% 등 9월 한차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늘었다.

이에 따라 지난 1∼11월 한우 도매가격은 ㎏당 1만 9917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1.2% 상승했다.

가정 소비 증가로 인해 축산물 가격은 지속적으로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달 돼지고기 예상 도매가격은 ㎏당 3700∼3900원으로 지난해보다는 높고 평년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한우는 내년 전체 평균 도매가격이 올해보다는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설 성수기 선물 수요가 생기며 일시적으로 오를 수 있다.

농업관측본부는 “코로나19 확산 상황에 따라 가정 내 소비가 늘어날 경우 가격은 더 오를 가능성이 있다”면서 “다만 경기침체로 인해 수요가 감소한다면 가격이 내려갈 수 있으므로 농가는 생산 조절과 생산성 향상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소비자경제신문 노정명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