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한 해 동안 자살 사망자만 1만3513명

국내 자살률이 최근 10여년이 넘게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국가 중 부동의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사진=소비자경제)

[소비자경제=나승균 기자] 최근 국내 자살률이 10여년 넘게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국가 중 부동의 1위를 기록할 정도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인층의 자살률이 압도적으로 높고 청소년층의 자살률도 빠르게 늘고 있어 정부 차원의 예방 대책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우리나라는 2003년부터 2015년까지 12년째 OECD 국가 가운데 자살률 1위의 불명예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2015년 한 해 동안 자살 사망자만도 1만3513명으로 하루에 44명꼴로 스스로 목숨을 끊은 셈이다. 

2012년부터 2015년 기간 동안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평균 28.7명으로 2위 헝가리 19.4 명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지난해 2위였던 일본은 5위(18.7→17.6명, 2014년 기준)를 기록하는 등 3계단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일본은 버블경제 이후 자살의 심각성을 인지하고는 자살대책기본법을 마련하고 긴급전략팀을 구성하는 등의 노력을 했다.

일본은 최근 5년(2012∼2016년) 동안 자살예방 예산으로 2조2281억원(약 2200억엔)을 투입하고, 이는 곧 자살자 수(2만7000명, 2012년 기준)를 3만명 대에서 15년 만에 2만명 대로 낮추고, 지난해 2만2000명 아래로 떨어뜨렸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자살률에 대해 ▲성공지상주의와 과도한 경쟁 ▲청년 실업률 증가 ▲준비없는 중장년층 퇴직 ▲질병 부담 등을 들었다.

이민수 고려대병원 우울증센터 교수는 "자살을 개인적이고 가족적인 문제가 아니라 사회 통합과 안전망 문제로 봐야 한다"며 "사회가 다원화하고 복잡해졌지만 사회가 개인을 적절하게 아우르고 자살하지 못하게 하는 제어 장치를 제대로 두지 않은 탓"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올 6월 청년 실업률이 역대 최고인 10.5%를 기록하면서 정부의 중장기적인 실업률 감소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