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9명(87.4%)은 “의료광고 과장됐다”

의료광고의 허위 또는 과장성 인식 여부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85.5%가 허위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소비자경제DB)

[소비자경제=나승균 기자] 의료광고의 허위 또는 과장성 인식 여부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85.5%가 허위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미디어이슈 3권 2호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9명(87.4%)은 “의료광고 과장됐다"고 생각한다. 추가로 의료광고 메시지가 과장됐다는 인식은 무려 87.4%에 달했다.

이날 한국언론진흥재단은 국민 1049명을 대상으로 의료광고에 대한 인식과 의료광고를 접하는 매체, 개선 방향 등을 조사했다.

의료 광고를 싣는 언론 매체들은 신뢰도에도 악영향(63.2%)을 미치고, 의료광고 규제 강화가 필요(80.1%)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의료광고는 언론 매체에도 게재되고 있다. 문제는 의료광고 신뢰도가 언론 매체 신뢰도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인식이 상당수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언론 매체가 의료광고를 게재하는 과정에서 광고의 품질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의료광고 규제에 관한 응답자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내용에 80.1%가 동의했다. 이 결과 역시 의료광고의 순기능을 보완하고 역기능을 제어해야 한다는 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 국민들이 가장 많이 의료광고를 접하는 매체는 인터넷(69.3%)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지하철·버스 등 옥외매체(53.4%), 현수막·전단지 등(43.9%) 순이었다(복수응답).

의료광고를 통해 자주 접하게 되는 분야를 조사한 결과 미용 성형/비만(68.2%), 임플란트/치아 교정(66.6%), 디스크/관절(63%), 시력 교정(52.7%), 남성 성기능(34.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발육/면역력, 임신/출산 등의 분야에 대한 접촉률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의료광고 중 남성 성기능 분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79.8%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미용 성형/비만 분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78.6%였고 어린이 발육/면역력 분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73.4%였다. 반면 임플란트/치아 교정 분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이 54.5%로 나타났다.

의료광고가 의료기관의 신뢰도에 악영향을 준다는 인식도 54.8%로 나왔다.

반면 의료광고가 새로운 의료기법이나 서비스 등에 대한 정보 제공 역할을 한다는 긍정적 의견도 65%였다.

결국 의료광고가 정확한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의 순기능을 회복하고 의료광고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센터 관계자는 "앞의 결과를 볼 때 중요한 것은 실제 의료광고 대부분이 허위거나 과장된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것이 아니라 국민의 인식"이라며 "의료분야는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에 국민 체감도가 매우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의료계를 비롯한 의료광고 주체가 의료광고의 규정을 준수하고 품질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